[왓처데일리] 대부분의 질병은 하루아침에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의 잘못된 생활과 건전치 못한 섭생의 결과이다. 관절 질환도 마찬가지. 생활 원인의 변화 없이는 일단 치유된 관절 질환도 재발하지 않는다고 장담하기 어렵다.   노화‘관절염’이라고 하면 누구나 가장 먼저 노인을 생각한다. 대개 30세가 넘으면 관절의 노화가 시작된다. 나이가 들면 연골에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 탄력이 없어지고 매끄럽고 투명했던 빛깔은 점차 거칠고 불투명해진다.노화가 더 진행되면 늘 촉촉하던 연골이 바삭하게 말라 움직일 때마다 마모가 심해진다. 게다가 관절의 움직임을 도와주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근육이 노화로 약해지면서 관절에 더 큰 부담이 실리게 된다. 결국 연골이 닳아 관절의 양쪽 뼈가 직접 닿게 되므로 움직일 때 마다 통증을 느끼게 된다. 초기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며 결국 움직이지도 못할 만큼 심한 관절염을 고생하게 된다.단, 노화는 여러 원인 가운데 비중 있는 하나일 뿐 나이 들었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관절 질환에 시달리는 것은 아니다.   과도한 노동‘뼈가 부서지도록 일했다’는 말은 단지 상징적인 의미가 아니다. 과도한 노동은 진짜 뼈를 상하게 한다. 노동은 관절을 골고루 사용하는 운동과 달리 특정 관절만 반복적으로 사용해 관절에 무리를 주고, 관절 주위 근육이나 인대 등도 쉽게 피로하게 만든다. 게다가 노동은 일의 양을 쉽게 조절하거나 휴식을 일정하게 가질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즐거운 마음으로 하기도 어렵다.노동을 피할 수 없다면 관절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한쪽 팔이나 한쪽 손, 다리만 쓰지 말고 되도록 양쪽을 번갈아 쓰고, 무리가 갈 정도의 일은 휴식을 적당히 취해가며 하는 것이 좋다.   과격한 운동관절염은 노인들만의 질병이 아니다. 젊은 사람들도 과격한 운동 때문에 관절염에 시달린다. 스포츠를 즐기다 얻는 관절 질환의 3분의 1은 무릎질환,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부상뿐만 아니라 공을 차거나 점프했다 착지 할때  감자기 멈춰서는 등의 동작도 무릎에 큰 부담을 준다. 관절을 단련하려는 목적으로 조깅을 하는 경우, 걷는 것에 비해 무릎에 걸리는 하증이 약 3~5배 정도 돼 관절에 무리가 간다.관절 건강을 위해서는 과도한 운동을 삼가고, 중노년층은 무릎을 땅에 반복적으로 찧는 운동이나 무릎을 심하게 굽혔다 폈다 하는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관절염, 젊으면 문제없다?관절 질환은 의외로 활동량이 많은 20~30대 남자들에게도 흔하다. 이들에게 가장 흔한 질환은 여놀연화증,건염, 전방 십자인대 파열 등이다. 연골연화증은 연골이 약해져 생기는 병으로,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무릎에서 가끔 ‘뚝뚝’ 소리가 나며 첨차 통증이 심해진다. 자주 부동자세로 서 있어야 하는 젊은 군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무릎을 움직여 주고 장시간 쪼그려앉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또한 건염이나 전방 십자인대 파열은 모두 격한 운동이 화근이지만 문제는 젊은 사람들이 이것을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연골이 약해져 다리가 아파도 운동 부족이려니 생각하고 십자인대가 파열돼도 걷거나 움직이는데 문제만 없으면 좀 쉬면 나을 거라 여긴다. 하지만 이런 부상을 방치하면 나중에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도움말 : 자생한방병원
최종편집: 2025-05-03 16:25:30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