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약침요법은 녹용, 인삼, 홍화 등 관절 질환에 이로운 한약재의 진액을 추출해 경혈에 주입하는 치료법이다. 약침은 침의 자극과 한약의 효과를 결합,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켜 인체의 면역작용을 돕고 모든 질환 치료에 두루 효과적이다. 아픈 부위에 직접 투여하기 때문에 소량의 약물로도 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소화
기능이 약해서 한약 복용이 어려운 환자에게도 한약을 투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관절염 환자엑 약침을 시술하면 약해진 연골을 보호하고 윤활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통증을 완화시키는 등 다양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오십견, 테니스엘보로 생긴 심한 통증에 효과가 탁월하다.
개인에 따라서는 약침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테스트를 거치고 전문 한의사의 시술을 받아야 한다.
동작침요법
동작침은 침을 꽂은 다음 가만히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움직여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이는 치료법이다.
예를 들어 급성 염좌를 일으켰을 때 움직이기 힘들다고 가만히 누워 있으면 오히려 근육과 인대가 더 뭉치고 혈액순환이 잘 안돼 울혈이 생기기 쉽다. 이렇게 생긴 울혈이 어혈로 변하면 근육이 더욱 수축되는데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동작침을 사용한다.
동작침의 가장 큰 장점은 아무리 심각한 응급 환자라도 시술 즉시 큰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극심한 통증으로 거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동작침 시술 후 즉시 또는 20분 안팎에 혼자서 걸을 수 있을 정도로 효과가 빠르고 확실하다.
무릎 관절은 관절을 이루고 있는 관절낭 속에 있는 윤활면과 관절 안에 가득 차 있는 윤활액을 통해 운동의 유연성이 확보된다. 그러나 퇴행이 진행되면서 몸 안의 진액이 점차 줄어들고 고목나무처럼 말라가며 무릎 안을 채우고 있어야 할 관절 윤활액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무릎 관절을 이루는 관절면이 부딪쳐 마찰을 일으키게 되고 빽빽한 느낌과 함께 통증이 생긴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관절면의 마찰로 인해 결국 관절 연골이 손상되거나 심하게 퇴행될 수 있는데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동작침법을 시행하게 된다.
침을 관절낭에 꽂은 채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면 윤활액 분비가 촉진돼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퇴행성관절염 초기에 동작침요법을 시행하면 연골 주변 조직을 자극해 진액의 분비를 늘리고 퇴행을 막아주며 연골을 활성화하고 통증을 억제한다.
도움말 : 자생한방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