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유난히 길었던 장마와 끝날 것 같지 않던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아침 저녁으로 제법 선선해졌다. 바야흐로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이 온 것이다. 하지만 말만 살이 찌는 것이 아니라 여름내 잃었던 식욕이 돌아와 우리의 체중도 늘고 있다.
게다가 기름진 음식을 먹게 되는 민족의 명절 추석이 곧 다가오니 이 또한 반갑지만은 않다. 풍요와 수확의 이 계절엔 먹을 것이 넘쳐나고 우리의 식욕은 좀처럼 억제되지 않는다. 이런 것은 비단 어른 뿐 아니라 아이들도 마찬가지이다. 여름 내 방학 동안 운동량이 적어져 살이 찐데다가 가을을 맞아 식욕이 증가해서 체중이 갑자기 늘기 쉽다.
피하지방이 증가하면 성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고 사춘기가 일찍 찾아온다. 체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 아디포카인 등의 물질이 사춘기 중추에 작용해 사춘기 발현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체중인 아이들은 정상체중인 아이들에 비해 성호르몬 분비가 증가하여 일찍 사춘기가 시작 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성장판이 빨리 닫히게 되므로 또래 아이들보다 키가 작아 지게 된다.
키를 성장시키는데 쓰여야 하는 성장호르몬이 아이들의 지방분해를 돕는데 쓰이기 때문에 비만은 아이들의 키 성장에도 악영향을 준다. 몸무게가 여자아이의 경우 30kg, 남자아이의 경우 45kg 정도가 되면 사춘기가 시작 할 수 있어서 적절한 표준 체중을 유지하고 소아비만을 피하는 것이 성조숙증 예방에 중요하다. 그러나 성인 비만의 경우 그 자체가 이미 병이라고 인식되는 반면 아이들은 뚱뚱해도 살이 나중에 모두 키로 갈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는 것이 큰 문제다.
소아비만이라고 해도 소아는 경우 성인과는 다르게 올바른 성장을 위한 치료가 최우선이기 때문에 급격한 체중감량은 금물이다. 아이는 성인과 달리 키가 자라므로 최소한 더 찌지 않고 현재 체중을 그대로 유지시키기만 해도 비만도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아이의 성장을 방해 할 수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칼로리 제한보다는 건강식단과 운동요법을 병행하여 충분한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감량을 하는 것이 좋다.
세끼는 골고루 먹되 저녁에는 과식을 피하고 인스턴트 식품을 줄이도록 한다. 음식을 식탁에서만 먹게 하고 온 가족이 함께 먹도록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아이 혼자 하는 것보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운동은 적어도 일주일에 세 번 이상 꾸준하게 하는 게 중요한데, 아이들과 놀이터에서 노는 요일과 운동을 하는 요일을 따로 정하는 것도 방법이다. 초기에는 가벼운 운동에서 점차 시간을 늘리도록 하자. 그러나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아이가 체중과 관계없이 사랑 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꾸준한 격려와 칭찬이다.
살 찌기 쉬운 이 가을, 꾸준한 운동으로 비만과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지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