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대표 이병건)는 미국 마크로제닉스(MacroGenics)사와 공동으로 개발중인 허셉틴 바이오베터 `MGAH22`의 다국가 임상 1상이 개시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표준치료법으로는 치료 가능성이 없는 HER2 양성 암환자를 대상으로 ‘MGAH22’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게 된다. 미국의 국립암센터, 사라 캐논 연구소와 함께 국내는 서울대병원에서 종양내과 방영주 교수 주도로 공동으로 실시되며, 첫 임상약 투약은 미국에서 실시됐다.
‘MGAH22’는 허셉틴과 같이 암 유발 항원인 HER2에 결합해 면역세포가 종양을 제거하도록 하는 항암 항체의약품으로, 허셉틴보다 항암효과를 강화시킨 것이 특징이다.
녹십자 개발본부장 이성열 상무는 “ ‘MGAH22’가 동유럽이나 아시아가 아닌 미국에서 식품의약국(FDA)의 까다로운 조건에 맞추어 임상투약을 시작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개발이 완료되면 ‘MGAH22’가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항암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한다”고 말했다.
2009년 기준 허셉틴의 세계시장 연매출 규모는 약 6조원이며, 국내 시장 연매출 규모는 약 230억원으로 2006년부터 연평균 77%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