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평양 알레르기학회와 대한천식 알레르기 학회가 주관하고 전북 진안군이 후원하는 서태평양 알레르기학회 포럼이 28일 진안군 청소년수련관에서 개막했다.29일까지 열리는 진안포럼에는 아토피피부염 등 환경성 질환에 대해 권위 있는 국내외 저명인사와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해 초청강연과 토론회를 한다.서태평양알레르기 학회장인 이상일 교수는 환경 변화와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잘못된 정보로 치료가 어려워지는 점을 지적하고 진안군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아토피 질환의 연구결과 등을 발표했다.이 교수는 아토피 친화학교로 지정된 조림초등학교의 성공사례와 에코에듀센터 건립 등의 사업성과를 발표하고 접근성이 좋고 청정환경이 살아 있는 진안군을 중심으로 아토피 프리타운 조성돼 사회적 취약계층 보호와 국민복지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환경부 백운석 환경보건정책과장은 "정부는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 예방관리를 위해 12개소의 환경보건센터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으며 어린이 환경보건 종합대책 추진, 아토피 등 예방관리센터 건립을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수립·추진할 계획으로 환경유해 인자로 말미암은 질환발생, 생태계, 국민건강에 미치는 관리방안, 민감 취약계층 특별관리대책 등 통합적 환경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전문포럼에서 미국의 도널드 레융 교수는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피부 표피 장벽의 구조적 결함 때문에 미생물의 2차 감염이 흔하다"며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반드시 이에 대한 치료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삼성서울병원 안강모 교수는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축 어린이집의 실내공기 오염 정도가 아토피피부염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실내공기 오염원에 노출 때 피부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진안군은 이번 포럼에서 도출된 국제사회의 아토피피부염 치유를 위한 사례와 정책, 전문가의 연구결과 등을 정부정책에 반영토록 제언할 계획이어서 아토피 프리 클러스터 사업의 예비타당성 통과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