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민족 대명절 추석이 코앞에 다가왔다. 풍요롭고 즐거운 명절이지만, 주부들은 정신적, 육체적 피로도가 높아져 대다수가 ‘명절증후군’을 겪는다. 이에 웰튼병원은 명절기간 주부들의 노동시간과 휴식시간,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증상 등을 알아보기 위해 ‘대상FNF 종가집’ 블로그를 통해 82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명절 증후군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명절후유증, 20-30대는 ‘정신적 스트레스’, 40대 이상은 ‘관절 통증’… 별다른 해소법은 없어웰튼리서치.jpg>명절, 정신적, 육체적 부담을 느끼냐는 질문에91%의 주부들이 ‘그렇다’고 답했다. 그 중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란 답변이 53%,‘무릎, 어깨, 허리 등 관절통증’을 경험했다는 답변이 각각30%로, 대부분의 주부들이 정신적 육체적 고통으로 인해 명절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후유증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20-30대에서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71%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40대 이상에서는 ‘관절 통증’에 답한 비율이 80%에 달했다. 20-30대는 시댁 스트레스 등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후유증이 큰 반면, 40대 이상은 음식준비와 손님접대 등 실제 가사노동에 따른 육체적 피로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주부들은 후유증을 어떻게 해소할까. 명절후유증 극복법에 대한 질문에는 주부 대다수가 ‘단순 휴식(67%)’을 취한다고 답했으며, ‘병원 진료 및 치료’를 받는다고 답한 비율은 7%, ‘별다른 극복법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13%에 달했다. 무릎, 어깨 등의 관절통증은 일정기간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완화되기도 하나, 일부는 치료가 필요한 정도까지 연골, 관절 등이 손상됐음에도 심각하게 느끼지 못하여 방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증상이 악화되어 무릎 연골의 손상과 어깨 회전근개 손상을 가져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에 웰튼병원에서는 명절 후 관절통증 등 불편감이 느껴지면 단순한 휴식보다는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심각한 관절질환으로 이어지지 않는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명절 가사노동, 평소보다 ‘더 힘들다’ 85%, 가장 힘든 일은 ‘음식준비 및 손님접대’주부들이 느끼는 명절 기간의 가사노동 강도에 대해 알아봤다. 평상시와 명절 기간의 가사노동 강도를 비교했을 때, 전체 주부의 85%가 명절이 ‘더 힘들다’고 답했다. 특히 이 중에서 평소보다 명절이 ‘2배 이상’힘들다고 답한 비율이 44%로, 대부분의 주부들이 명절 기간 가사노동 강도를 평소보다 높게 느끼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명절 가사노동 중, 주부를 가장 힘들게 하는 일에 대한 질문에는 과반 이상이 차례 음식 준비, 반복적 상차림, 설거지 등 ‘음식준비 및 손님접대(54%)’를 꼽았으며, ‘경제적 부담(22%)’, ‘장거리 이동(15%)’이 그 뒤를 이었다. 가사노동 시간 대비 휴식 시간은 짧아, 틈틈이 스트레칭 통해 관절 부담 줄여줘야명절 하루 평균 가사노동 시간은‘5시간 이내’가 30%, ‘7시간 이내’가 28%,‘9시간 초과’라고 답한 주부도 10%에 달해, 주부들의 실제 가사노동 시간이 짧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가사노동 시간 대비 휴식 시간은 얼마나 될까. 명절 기간 주부들의 하루 평균 휴식 시간으로는 ‘4시간 이내(35%)’, ‘2시간 이내(34%)’로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휴식 시간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7%)나 되는 등 가사노동 대비 적은 시간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웰튼병원 송상호 원장은 “명절에는 음식준비와 손님맞이 등 짧은 시간 강도 높은 노동으로 인해 몸에 무리가 오기 쉽고 특히 관절이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해 관절에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며 “치료가 필요한 정도로 관절이 손상됐음에도 이를 방치하여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명절 후 어느 정도 휴식을 취했음에도 계속해서 통증이 느껴지면 빠른 시일 내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심각한 관절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