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이란 스마트폰, PC의 대중화에 따른 이들 영상표시단말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유발되는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최근 그 발병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VDT증후군은 4년새 30%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에 있다. VDT증후군은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시간이 많은 이들에게 발병되고 있어 일종의 직업병으로도 불려져 왔으나, 근막통증, 손목터널증후군, 허리와 목디스크, 안구건조증 및 거북목증후군 등의 대표적인 증상은 성별과 연령을 불문하고 나타나고 있으며, 이 중 특히 거북목증후군은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사용습관이 늘고 있는 어린 학생들에게서도 급증하고 있어 그 문제는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거북목증후군이란 거북목과 같이 목이 앞으로 나온 자세로, 1cm 고개가 앞으로 나올 때마다 목에 2~3kg의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목과 어깨쪽으로 결림 및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구부정한 자세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거북목이 방치되어 심해질 경우 머리와 목뼈 사이의 신경이 눌려 두통이 유발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목디스크까지 유발될 수 있어 학습과 업무집중력에 장애는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불편함이 따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VDT증후군의 대표증상인 만큼 거북목이 유발되는 원인은 무엇보다 컴퓨터 모니터를 가깝게 본다거나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와 함께 바르지 못한 자세가 결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랜 시간동안 습관에 따라 조금씩 변형되어 나타나는 증상인 만큼 정상적으로 교정되는 데에도 장기간이 소요될 수 있음에 따라 사전 자세교정과 자가진단을 통한 예방과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군자 뽀빠이정형외과 엄기혁 원장은 “본래 경추는 C자형의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을 때 머리의하중과 외부 충격을 완충하는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스마트폰과 pc사용에 의해 경추배열이 무너지면 주변 근육과 인대가 약해지고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만성적인 통증질환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거북목의 경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눈 아래쪽 얼굴부위가 흉골과 쇄골이 만나는 관절보다 3cm이상 돌출된 경우 진단할 수 있으며, 경추 7번과 귀로 연결된 각도가 좁을수록 그 정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습니다.” 라고 말하며, “VDT증후군으로 나타나는 거북목을 예방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영상단말기의 사용습관을 줄이고 일정시간의 정기적인 휴식과 스트레칭을 통해 과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는 눈높이를 정면으로 맞추고 턱을 당겨주는 습관과 함께 고개와 어깨를 바로 세운 상태의 바른 자세습관을 길들여주는 노력이 필요합니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