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찬바람 부는 날씨 가을,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손이 저리거나 손목관절통증이 심해져 통증클리닉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손목관절통증은 혈액순환이 올바로 안되거나 목디스크로 인해 팔로 내려가는 신경이 눌려 발생되는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 겨울을 앞둔 가을에는 특히 중년 여성의 손저림과 통증을 일으키는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중년, 노년에 나타나는 질환 손목터널증후군?  손목터널은 손목의 손바닥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로 여러개의 힘줄과 정중신경이 이 곳을 통해 손바닥 쪽으로 지나간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이 통로가 좁아지거나 내부압력 증가로 인해 정중신경에 대한 압박이 가해져 발생되는 인구의 약 1%가 호소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중년 또는 노년에 많이 발생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2배의 빈도로 자주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손목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그 후유증,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나 건막의 증식, 그리고 손목터널 내에 발생한 종양 등으로 인한 눌림으로 신경의 압박에 따른 통증이나 저림 증상을 겪게 된다. 골절 후 뼈가 잘 안붙어 발생되는 불유합 등의 후유증으로 처음에는 증상이 없고 시간이 지날 수록 증상을 보이는 지연성과 관절을 싸고 있는 활액막에 염증이 생기는 활액막염을 초래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통풍 등은 손목터널 속 굴곡건 활액막을 붓게 하거나 증식돼 급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통증 오래가는 손목터널증후군, 약물치료? 물리치료? 치료는 어떻게?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은 엄지, 검지, 중지의 손바닥 부위(정중신경 분지)의 통증과 저림이며 아리고 쑤시는 통증을 보이기도 하고 이러한 증상은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중 몇 개 혹은 전체에서 나타날 수 있다. 주로 나이가 많은 중년 여성에게 잘 나타나며 수면 시 저림 증상으로 숙면을 취하기 힘들고 통증이 나타날 때 손을 주물러 주면 통증이 가라앉는 증상이 반복된다. 세연통증클리닉 최봉춘 원장(마취통증전문의)은 “손목터널 증후군은 손목에 부담이 되는 행동을 피하고 휴식을 취하며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가 원칙”이라며 “특히 임신한 여성들은 대부분 출산 후에 저절로 해소되는 경우가 많아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손목 보호대만 착용만으로 증상을 호전시킬수 있고 굴곡건 활액염이 있는 것으로 진단시 소염제 등의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강력한 소염제인 부신피질 호르몬을 손목 터널 내 투여하는 것도 시행된다.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했음에도 1년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엄지손가락 근육의 위축이 나타나거나 객관적으로 손바닥 감각의 소실이 증명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 손목터널증후군 예방해주는 스트레칭 법 1)두 팔을 하늘로 뻗었다 내리기 반복두 팔을 앞으로 펴서 손등이 하늘로 향하게 한 뒤 천천히 하늘로 들어올린다. 두 팔을 천천히아래로 내리되 두 손이 머리를 쓰다듬듯이 내린다. 2)두 팔을 좌우로 곧게 뻗기손바닥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두 팔을 양 옆으로 뻗습니다. 이때 손은 팔과 직각이 되도록 꺾어준다. 이 같은 동작을 두 세 차례 반복해준다. 3)두 팔을 반대방향으로 뻗어주기왼팔을 앞으로 뻗은 뒤 오른손으로 왼 팔꿈치를 잡고 오른쪽으로 당긴다. 서너 차례를 반복 후 반대쪽도 해준다. 4)두 팔을 앞으로 뻗어 손바닥 꺾어주기두 팔을 앞으로 뻗은 뒤 손가락이 하늘로 향하도록 위로 꺾었다가 다시 손가락이 아래로 향하도록 꺾어준다. 5)두 손 주먹 쥐고 안쪽 방향으로 돌려주기가볍게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목을 안에서 밖으로 밖에서 안으로 돌려준다. 6)두 손 깍지 끼고 손목 풀어주기두 손을 깍지 끼고 하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손바닥이 물결치듯이 손목을 움직여준다. 
최종편집: 2025-05-03 05:21:33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