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정부는 지난달 26일 ‘2015 한의약 R&D 사업 추진방향 설명회’에서 ‘2016년 한의약 R&D 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하며 한의약의 과학화-표준화 작업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6년 한의약 R&D 예산은 132억 원이며, 추진 예정 과제는 ▲한약제제개발 ▲한방의료기기개발 ▲한의임상인프라구축 ▲ 한의약 근거창출 임상연구 ▲한의씨앗연구 ▲한의약 산업육성 제품화지원 ▲한의국제협력연구 ▲질환중심 맞춤한의학 중개연구 ▲한-양방융합 전임상연구 ▲한-양방융합 임상연구 등이다. 사실 한의약의 과학화 표준화를 위한 작업은 정부를 비롯해 한의약 관련 기관에서 매년마다 해오던 과제 중 하나이고, 박근혜 정부가 출범할 당시 한의계를 위한 지원의 목소리를 높였지만 기대에 못 미쳤던 것이 사실이다. 물론 매년 증가하고 있는 한의약 R&D 예산액은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2016년 한의약 R&D 예산 132억에는 신규예산 40여억원이 포함돼 있다. 2015년에도 신규예산 20억원 증가, 2014년 12억원 증가, 2013년 9억원이 증가하며 매년 신규예산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를 비롯해 여러 관계 기관에서 많은 노력을 해왔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의약 R&D를 주도하는 보건복지부 관계자 역시 “한의계 관련 종사자들과 기관들이 많은 신경을 써줘서 한의약 R&D 예산이 증가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예산을 확보한 것만으로 청신호가 켜졌다고 볼 수 없다. 확보된 예산으로 ‘어떻게 요리할 것인가’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 정부주도의 R&D가 중요한 이유는 예산이나 인력, 자원 등의 문제로 민간이 주도하는 R&D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한의약의 과학화와 표준화 작업을 위해서는 한약제제와 의료기기, 화장품 분야 등 객관적인 연구결과로 증명할 수 있는 관련 제품을 개발이 시급하다. 정부 역시 2016년 한의약 R&D 연구의 중점 과제로 이러한 것들을 꼽았다. 차별화된 한의약산업의 발전이야말로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 최우선의 방법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연구는 모두 임상연구를 기본으로 표준화된 근거를 확보해야 하는데, 관련 작업을 위한 연구인력 부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경희대한방병원 한의약임상시험센터가 해결사로 나서 한의약 임상연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을 실시,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을 따로 실시해 우수한 연구인력을 길러내려는 것은 한의약 발전을 위한 정부와 한의계 관계자들의 기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016년 한의약 R&D에 직접 관여하게 되는 정부를 필두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진흥재단 등 관련기관과 부산대한방병원, 경희대한방병원, 대전대둔산한방병원, 원관대광주한방병원 등 병원들이 긴밀한 협력을 이루며 구체적인 결과물을 창출해나가기 위한 시동을 하고 있다. 이미 지난달 26일 열린 ‘2015 한의약 R&D 사업 추진방향 설명회’에서도 정부와 관련기관, 병원 관계자들이 한데 모여 의지를 불태웠다. 한의약의 과학화 표준화 작업을 위한 상호 간 긴밀한 협력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이들이 다짐한 대로 매끄러운 호흡을 이어간다면 더 이상 한의약의 과학화 표준화 작업이 추상적인 이야기로 치부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번 기회를 계기로 수년전부터 제기되 온 한의약의 비과학화 설움을 씻어내 정부와 한의계, 국민 모두가 웃을 수 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