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직장인 김민철(58세)씨는 최근 한파의 날씨에도 운동으로 테니스를 시작했다. 상대방과 공을 주고 받으며 몸을 풀어주다가 강하게 공을 넘기는 순간 어깨에서 뚝하고 소리가 났고, 소리가 날 때 만 어깨 주변에 통증이 있을 뿐, 이후에는 통증이 없어, 스프레이 파스를 뿌리고 대수롭지 않게 넘어갔다. 하지만 통증이 생긴 지 1주일 후부터 어깨가 당기는 것은 물론, 심지어 팔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없었고, 심지어 뒷주머니에 손을 넣는 것도 힘들었다. 김씨는 파스를 부쳐도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고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게 됐다. 김씨는 만성어깨통증질환 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2010년부터 5년 동안 ‘어깨병변’에 대한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2010년 약 171만3000명에서 2014년 약 205만3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4만명(19.9%) 증가했고 연평균증가율은 4.6%에 달했다고 밝혔다. 총진료비는 2010년 약 2407억원에서 2014년 약 3969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562억원(64.9%)이 증가했다. ‘어깨병변’은 95% 이상이 외래진료를 받았고 지난해 기준 입원 진료인원은 약 10만명, 외래진료인원은 약 204만명이었다. 입원환자들이 가장 많이 받는 수술은 ‘견봉성형술 및 회전근개파열복원술’로 지난해 기준 실시횟수는 약 5만6000회였다. ‘어깨병변’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흔히 ‘동결견(오십견)’으로 알려진 ‘어깨 유착성 피막염’으로 지난해 기준 약 77만7000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30% 이상이었다. 세연통증클리닉 최봉춘 원장(마취통증전문의)은 “어깨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은 대부분 비슷하지만 발생원인은 다를 수 있어 통증이 오랜 시간 동안 시간 지속되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평소 통증 예방을 위해서는 무리한 움직임을 하기 전에는 꼭 스트레칭을 하고 굳어있던 근육,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또 “어깨통증이 발생할 경우 보통 가벼운 어깨통증이나 오십견으로 생각하고 자가치료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지만, 통증이 1주일 이상 지속되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정확한 원인을 알고 치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잦은 오십견… 관절강유착박리술 및 관절강내 주사치료법으로 간단히 치료 오십견(어깨병변), 어깨 질환은 빨리 치료할수록 증상이 사라지고 어깨가 굳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치료법으로는 관절강유착박리술 및 관절강내 주사치료법, 초음파 유도하 점액낭 주입술, 인대강화주사요법 등으로 치료 할 수 있다. 특히 관절강유착박리술은 어깨 관절에 통증이 심하고 잘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약물을 관절내에 주입하여 관절의 운동범위를 개선시키고 통증을 조절하는 치료법으로 시술 후 어깨운동이 바로 호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 연골세포 재생을 도와주는 관절강내 주사치료법은 퇴행성 변화가 심한 관절내에 인공 관절액 성분을 주입해 관절의 완충 작용과 함께 연골세포 재생을 도와준다. 간단한 스트레칭으로 만성 어깨통증질환 방지  어깨 통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바른 자세 유지, 온열요법, 적당한 운동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노인분들의 경우 새로운 운동을 시작할 때 조심해야 한다. 평소에 반복적으로 사용해 미세하게 손상이 있던 어깨 관절이나 힘줄, 인대가 갑작스런 운동으로 손상을 받아 찢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철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경우, 가벼운 체조와 스트레칭 부터 시작하고 가벼운 중량 운동으로 시작하여 근력을 충분히 기른 후에, 본격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또 찬바람에 노출되면 증상이 더 심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상체를 덮을 수 있는 얇고 긴 옷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다.  또 통증이 심한 부위에는 가벼운 찜질 등을 하면 통증을 다소 가라앉힐 수 있다. 이밖에 날씨의 영향을 다소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에서는 기온은 18~20도, 습도는 45~60% 사이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  어깨통증 완화를 위한 생활수칙 1.스트레칭= 근육뭉침과 관절통증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한다. 운동시간은 1회 5~10분, 1일 3~5회씩 꾸준히 한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갑자기 움직이면 근육에 무리가 오므로 누운 자세에서 가볍게 두 팔을 올려 기지개를 쭉 켜고 앞, 뒤, 옆으로 스트레칭을 한 뒤 일어나는 것이 좋다. 2.유산소 운동= 걷기, 아쿠아로빅 등 유산소운동을 스트레칭과 병행하면 몸 전체의 혈류가 촉진되고 관절 가동력을 높인다. 유산소운동은 1일 30분씩 2회 정도가 적당하다. 3.따뜻한 마사지= 따뜻한 마사지는 혈류촉진과 통증완화에 효과적이다. 평소 따뜻한 물로 자주 샤워를 하면 혈액순환에 좋다. 4.올바른 자세 유지= 같은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있으면 어깨통증이 생길 수 있다.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책상에 앉을 때, 장시간 운전을 할 경우에는 1시간마다 자세를 바꿔주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최종편집: 2025-05-02 03:59:3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