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폐결핵을 앓은 경험이 있는 사람이 폐기능 저하 및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을 비롯한 호흡기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 호흡기알레르기내과 박인원·정재우 교수팀은 과거 폐결핵력 유무가 현재 폐기능 결과 및 호흡기 증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의 논문(Pulmonary Impairment in Tuberculosis Survivors)을 최근 발표했다.연구팀은 최근 5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40세 이상 남녀 14,967명 중 평균 29년 전에 폐결핵 진단을 받은 822명을 분석한 결과 과거 폐결핵력이 없는 사람이 이후 만성폐쇄성폐질환에 걸린 확률이 12.3%인데 비해 과거 결핵치료를 받았던 사람 중 29.1%가 만성폐쇄성폐질환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했다.이는 과거 폐결핵을 앓은 사람 약 3명중 1명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과거 폐결핵력이 있었던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에 걸릴 확률이 2.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거 폐결핵력이 있는 사람 중에도 흉부 엑스레이(X-ray)상 결핵 흔적이 있는 경우 흔적 없이 나은 사람에 비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이 2.3배 더 높았다.또한 연구팀은 폐기능 검사 결과 과거 폐결핵을 진단받은 사람이 결핵력이 없는 사람들에 비하여 폐기능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결핵력이 있는 사람 중 흉부 엑스레이(X-ray)상에서 결핵 흔적이 없는 정상 폐 사진을 보이는 자만 따로 보았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폐기능이 감소된 것을 확인했다.뿐만 아니라 과거 폐결핵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기침이나 호흡기 증상으로 인한 활동의 제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 역시 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폐결핵 유병율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폐결핵의 진단 및 치료도 중요하나 과거 폐결핵으로 치료를 다 받았다 하더라도 장년층이 되었을 때 이들의 후유증이 발생하는지 감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우 교수는 “폐결핵력이 있는 경우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조기진단을 위하여 정기적인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고 이에 대하여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폐기능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이어 정 교수는 “폐쇄성폐질환 발생의 제일 중요한 인자가 흡연인데 결핵력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금연을 해야 하며 폐결핵을 앓은 자들 중에서도 특히 본인이 흉부 엑스레이 상 흔적이 남아있다면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더욱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편 박인원·정재우 교수팀의 이번 연구 논문은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Public Library of Science)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SCI-E)인 ‘PLoS One’ 저널에 게재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