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나이가 들면 대부분 겪게 되는 백내장과 노안. 아무리 운동을 하고 좋은 음식을 먹어도 눈의 노화는 피할 수 없다. 노안이 오면 가까이 있는 작은 글씨나 사물이 잘 안보이고, 백내장은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는 것이 일반적인 증상이다. 그런데 한 조사에서 노안과 백내장이 단순 시력장애를 넘어 크고 작은 사고를 유발하고 신체ž정신적 건강문제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대다수 노안환자, 생활 속 불편 경험. 눈 침침해 생활사고, 건강문제 시달려!아이러브안과 국제노안연구소(박영순 대표원장)가 병원을 방문한 백내장ž 노안환자 177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10명 중 8명이 생활불편을, 2명 중 1명은 생활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러브안과는 응답자의 82.5%(146명)가 백내장과 노안으로 인해 생활 속 불편을 겪었고 직업수행을 할 때 불편을 경험한 사람도 75.1%(133명)나 된다고 밝혔다. 환자들이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겪는 불편으로는‘제품표시나 가격표 보기가 힘들다’133명(75.1%), ‘핸드폰 문자보기 어려움’(95명, 53.7%), ‘은행업무 볼 때 숫자, 계좌번호 잘못 기재’(87명, 49.2%) 등이 많았다. ‘문서나 자료를 볼 때 시간이 오래 걸린다’(91명, 51.4%), ‘상대방 명함을 단번에 알아 볼 수 없다’ (89명, 50.3%),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하는 시간이 더디다’(78명, 44.1%)는 직업 수행의 어려움도 호소했다.더 큰 문제는 잘 안 보이는 불편을 넘어 사고나 건강문제까지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전체 조사 대상의 45.8%(81명)는 백내장ž노안으로 한 가지 이상 생활사고경험을, 67.2%(119명)는 건강 문제를 겪었다고 응답했다.생활사고 유형에는 ‘바로 앞 유리문이나 작은 턱이 안보여 부딪친 경험’(51명, 28.8%) 이 가장 많고, ‘뾰족한 것에 찔린 경험’(48명, 27.1%), ‘뜨거운 것에 데이거나 칼에 베임’(22명, 12.4%), ‘계단을 오르내리다 넘어진 사고’(19명, 10.7%)가 뒤를 이었으며, 심지어‘잘 안 보여 약을 잘못 복용한 경험’(14명, 7.9%)도 있었다. 노안 때문에 생기는 건강문제로 ‘늘 피로하다’는 응답자가 47.5%(84명)에 달했다. 아이러브안과 박영순 대표원장(국제노안연구소장)은“실제 백내장·노안환자 중에는 침침한 증상 외에도, 눈이 시리고 쿡쿡 찌르는 느낌, 눈물이 자주 나고 이물감이 느껴지는 뻑뻑한 느낌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두통, 어지럼증, 구토증상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 질환은 시력 저하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의 삶의 질을 크게 훼손하고 생활불편과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예방과 치료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소개했다.노화현상을 넘어 삶의 질 자체를 떨어뜨릴 수 있는 백내장ž노안. 만약 돋보기를 껴도 불편이 지속되고, 증상이 침침한 증상으로 끝나지 않는다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최선이다.다초점인공수정체(조절성인공수정체) 삽입술은 나이가 들어 딱딱해지고 조절력이 떨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새 다초점인공수정체를 넣어 반영구적으로 백내장과 노안을 해결한다.  불편을 참고 살거나 레이저 노안라식 등 일시적 방법들과는 달리 한 번 수술로 평생 돋보기를 벗을 수 있는 시대가 찾아온 것이다. 다초점인공수정체는 첨단 광학기술을 적용해 설계돼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모두 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해결할 수 있다. 인체 성질과 적합한 아크리소프 재질로 돼있고, 유럽 CE마크인증을 받아 안전성까지 확보했다. 혼탁해진 수정체를 교체하는 백내장 수술과 방식이 같아 한 번 수술로 노안과 백내장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망막출혈이 심하거나 중증의 황반변성, 시신경위축이 있는 경우는 수술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에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최종편집: 2025-07-03 05:14:09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