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사업의 일환으로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에 대한 표준이 완성되었다. 이는 향후 안면신경마비환자가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 내원하게 되면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에 근거하여 치료받게되는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관련 한의계에서는 “진단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의료인의 성향에 따라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대한 근거가 안면신경마비의 평가척도나 EMG검사, 적외선 체열검사, 7구역진단검사 등의 방법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논문을 정리했다.<편집자주>구안와사(口眼喎斜)와 7구역진단기의 상관성 연구[논문]7구역진단기를 활용하여 구안와사 진단의 객관적인 지표를 제시하고자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침구과에서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말초성 구안와사로 진단되어 입원치료 중 7구역진단기로 측정하였던 환자들의 결과를 대상으로, 제2구역의 유형에 따른 각 군의 성별, 연령, 발병일로부터의 경과 기간, 이후통의 유무, 발병계절, 발병유인 등의 요인들 관찰 비교한바 유용한 결과가 있어 보고한다.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우석대학교 부속 전주 한방병원 침구과에 특발성 구안와사(Bell’s palsy)로 진단되어 입원치료 중 7구역진단기(CP-6000A. 샤인메디컬, 한국) 검사를 시행했던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구안와사 환자 중 중추성 구안와사, 6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는 연구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1. 전제 28명 중 군의 분포는 제2구역이 정상보다 낮은 군이 16명(57.14%)으로 가장 많았고, 정상 범위인 군과 정상보다 높은 군은 6명(21.43)으로 같았으며, 각 군 간 성별과 연령 분포에서는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발병일로부터의 경과기간과의 상관관계에서 제2 구역이 정상보다 낮은 군은 8.06±10.62일, 정상 범위인 군은 6.00±7.95일, 정상보다 높은 군이 4.67±3.83일로 2구역이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발 병일로부터의 기간이 짧아졌다. 3. 이후통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지만 제2 군이 정상보다 낮은 군(37.50%)보다 정상이거나 (83.30%), 높은 군(66.70%)에서 높은 비율로 환자들이 이후통을 호소하였다. 4. 발병시기와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 정상보다 낮은 군은 봄(43.80%), 겨울(18.80%) 에, 정상 범위인 군은 겨울(50.00%)에, 정상보다 높은 군은 여름(50.00%)․가을(50.00%)에 많이 발생하였다. 5. 발병유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로 정상 보다 낮은 군은 특별한 이유 없이 발병하는 경 우(57.14%)가 많으나, 정상 범위인 군은 스트레스 (50.00%), 정상보다 높은 군은 스트레스(33.30%) 와 한랭노출(33.30%)로 인하여 발병하는 경우가 많았다.이상의 결과에서 제2구역이 낮으면 寒症, 虛症으로 氣虛, 風寒, 中氣下陷 등의 변증을 유추할 수 있으며, 제2구역이 높으면 熱症, 實症으로 濕痰, 風熱, 肝風內 動 등의 변증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로써 7구역진단 기에서의 factor AA 부분의 제2구역의 빨간색 막대그래프의 높이가 구안와사 환자의 여러 요인들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이를 변증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저자 : 조이현 이진복 임정균 박가영 육태한 송범용   대한침구학회지 제27권 제2호(2010년 4월) ....
최종편집: 2025-05-02 04:21:00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