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침]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B.C.460~377)는 꿀벌을 태운 후 그 재를 기름과 혼합해 질병을 치료했다는 기록을 남겼고 프랑스의 샤를마뉴 황제도 뻣뻣해진 관절을 치료하는데 봉침 치료를 받은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난치성 질환, 자가면역계질환, 근골격계 질환에 뛰어난 효능을 보여 대중화된 봉약침이 단점을 최소화한 스위트 봉약침(Sweet BV)으로 진화해 눈길을 끌고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꿀이 "상처와 입술 궤양을 소독하고 화농과 염증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다"라고 썼다.​ `이독치병(以毒治病)` 봉약침민간에서는 벌침요법 또는 봉침요법이라 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살아있는 벌을 환부나 경혈에 자극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사용해왔고, 한방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봉독채취기(Bee Venom Collector)로 벌의 독만을 채취한 후, 무균적 정제 과정을 통해 안정성이 확보된 치료용 약침제제로 만들어 한의사가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봉약침이다. 한의학에서는 이독치병이라하여, 약물이 가지고 있는 독성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데 봉약침 또한 이에 해당된다.봉독은 약 40가지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통과 소염효과가 뛰어나고 면역 기능을 증진시켜준다. 따라서 디스크 질환, 협착증 관절염, 오십견 등에 효과가 뛰어나고, 면역계 질환, 각종 신경통치료에도 사용된다. 또한 봉약침은 비위생적이고 농도를 조절할 수 없는 봉침요법의 단점을 극복한 것으로 분말 형태로 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독에 민감한 사람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히 살아 있는 벌의 침을 이용하는 벌침요법과 독을 정제해 주사기로 주입하는 봉독요법이 미국이나 러시아, 동유럽 등 외국에서도 대체의학의 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스위트해진 봉약침"물은 배를 움직이게 하지만,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라는 말처럼 독의 연구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매우 위험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봉약침은 한 단계 더 발전하기에 이른다. 그것이 바로 스위트 봉약침(Sweet BV)이다. 약침의학연구소 권기록 소장이 2007년 개발한 스위트 봉약침은 봉독에서 가장 주된 성분인 Melittin을 순수 분리, 정제해 만든 약침이다. 봉독에는 알러지의 항원으로 작용하는 분자량 10,000 이상의 효소성분과 가려움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히스타민 등의 저분자 물질들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을 단백질 분리기법을 이용, 정제단계에서 제거하고 Melittin 만 정제한 봉독이다. 이와 관련 한의학 관계자는 "쉽게 말해 봉약침에 들어있는 알러지 유발 단백질을 제거한 것이 스위트 봉약침"이라며 "스위트 봉약침은 부작용에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스위트 봉약침은 이미 많은 실험을 통해 우수한 진통, 소염, 향균효과 등을 입증했으며 SCI급 논문으로도 발표가 된 바 있다. 스위트 봉약침은 면역과 염증에 관여하는 유전자 조절인자의 활성을 조절해 염증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암세포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현되는 단백질로 특히 대장과 직장암의 발생과정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의 활성을 저해하며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봉약침을 뛰어넘다스위트봉약침은 그 이름만큼이나 달콤한 효과들을 나타내는데 우선 기존 봉약침과 다르게 환자들에게서 알레르기 반응이 현저하게 저하됐다. 또한 봉약침을 시술받고 전신 및 즉시형 과민반응을 경험한 환자들도 스위트봉약침의 시술에서는 과민반응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봉약침을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이와 함께 봉약침의 고용량 시술이 부담스러운 중증환자들의 경우도 스위트봉약침을 이용하면 초기부터 고용량의 시술이 가능하다. 실제 동물실험에서 인체 사용량의 약 4,000배 이상을 한 번에 주입해도 간, 비장, 신장, 뇌, 척수 등의 장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기존 봉약침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을 더욱 자주 시술할 수 있으므로 치료기간이 단축되고 더욱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봉약침에서는 조직의 부종으로 인한 부작용 때문에 사용하기 힘든 예풍, 천용, 천정 등 대부분의 경혈에 시술이 가능하고 치료효과가 우수하다.[글:권기록 전 상지대학교 교수]....
최종편집: 2025-05-01 22:25:0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