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허심탄회하게 듣고 문제에 대해 파악해 정부가 어떤 것들을 도와줄 수 있는지 검토해서 좋은 방안을 찾겠다.”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논란이 한창이던 2015년 10월 27일 보건복지부 장관으로서는 처음으로 대한한의사협회를 방문한 정진엽 장관은 이 자리에서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문제와 함께 한의계가 처한 어려운 상황을 경청하며 한의계에 도움을 약속했다. 하지만 정 장관의 이런 약속에도 불구하고 한의계가 처한 어려움은 전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역시 대표적인 것이 의료기기 사용 문제이다.정 장관은 지난해 국정감사 당시에도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문제에 대해 적극 돕겠다는 입장을 피력했지만 수개월이 지난 이 시점에도 복지부는 의료계와 한의계의 눈치를 보며 어떠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도 않고 있다. 한의계를 적극적으로 돕겠다던 정 장관의 말이 지금 이 순간에도 약속이 아닌 공수표가 되고 있는 것이다.더욱이 얼마 전에는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분야에 대한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민·관 협의체’를 구성했는데 한의계만 제외되는 일까지 있었다. 협의체에는 복지부를 비롯해 서울대병원, 대한병원협회, 한미약품, 대웅제약 등 보건의료 관련 정부부처와 의료계, 제약업계가 포함됐으나 한의계 인사는 단 한 명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이쯤 되면 복지부가 한의계를 도와주는 것이 아닌 왕따를 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2만 한의사들은 지금 이시간에도 의료기기 사용 문제 해결과 복지부의 도움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 이제 그들의 요구에 복지부가 응답할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