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하지만 우리나라의 항생제 처방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9년~2013년 상반기 2·3차 항생제 처방건 현황’ 자료에 따르면 2·3차 항생제 처방건이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2차 항생제 처방건을 보면 2009년 5,584만 3,404건이었던 것이 2012년 5,898만 5,461건으로 314만 2,057건(5.6%) 증가했으며 3차 항생제 역시 2009년 18만 8,677건이었던 것이 2012년 31만 9,427건으로 13만 750건(69.3%) 증가했다.또한 지난해 상반기에도 2차 항생제는 3,016만 1,808건, 3차 항생제는 17만 5,154건이 처방되어 상승세를 이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의료기관 종별 2·3차 항생제 처방건 현황을 살펴보면 상급 종합병원부터 의원까지 모든 종별 의료기관의 2·3차 항생제 처방건이 늘어났으며 2차 항생제 처방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병원, 3차 항생제 처방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종합병원으로 나타났다. 2차 항생제 처방 증가율은 병원이 53.3%, 종합병원이 21.47%, 상급종합병원이 14.16%, 의원이 0.78%이고 3차 항생제 처방 증가율은 종합병원이 84.8%, 병원이 82.7%, 상급종합병원이 58.16%, 의원이 17.84%이다. 이와 같이 국민들이 가장 가깝게 찾을 수 있는 병원의 2·3차 항생제 처방건이 각각 53.3%와 82.7% 늘어나고 있어 엄격히 관리되어야 할 2·3차 항생제의 오남용이 우려된다.이에 김현숙 의원은 “2차·3차 항생제는 내성 등의 위험성 때문에 반드시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할 약제”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2차·3차 항생제의 처방 건이 많아지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또한 김 의원은 “2차·3차 항생제의 경우에도 기준을 정해 관리해야만 국민의 항생제 내성 위험을 줄이고 ‘슈퍼박테리아’로 잘 알려진 다제내성균으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항생제 사용 대신 면역력 향상이 정답!항생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우리 신체의 방어부대라 할 수 있는 유익한 세균까지 죽게 되고 그 결과 인체의 저항력은 점점 떨어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다음에 다시 바이러스가 침입해도 저항할 힘이 없어 각종 질환에 쉽게 걸리고 다시 약을 찾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만약 치료를 했는데도 병이 계속 재발한다면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줘야 한다. 항생제로 세균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면역력을 향상시켜 인체가 스스로 세균을 죽일 수 있도록 돕는 방법만이 재발하는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