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중금속을 대표하는 물질인 납에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을 경우, 정신질환으로 치료를 받을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조증과 울증을 보이는 정동장애(情動障礙)를 겪을 가능성이 높았다. 아시아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행 된 혈액 중 납 농도와 정신질환과의 관계를 밝힌 논문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윤진하 교수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직업환경학과 안연순 교수는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특수건강진단으로 수집된 남성 근로자 54,788명의 혈액 내 납성분과 정신질환 발생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혈액 내 납성분 농도에 따라 네 가지 그룹(1분위 <4.10㎍/dl, 2분위 <6.04㎍/dl, 3분위 <10.00㎍/dl, 4분위 ≥10㎍/dl).으로 분류했다. 조사 대상자 54,788명 가운데 정신질환을 겪어 병원 입원 치료를 받은 근로자는 모두 223명이었다. 연구팀은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근로자를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에 따른 항목분류을 실시하고, 항목별 혈액 내 납성분 함유량에 따른 정신질환 발생 정도를 구했다. 연구결과, 정신활성물질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항목(F10-F19)의 경우 혈액 내 납 농도가 10㎍/dl 이상인 경우(4분위)엔 4.10㎍/dl 이하인 경우(1분위) 보다 입원치료를 받을 위험도가 1.96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4분위 집단은 1분위 집단에 비해 정동장애 항목(F30-F39)로 입원할 위험도가 2.59배 높게 측정됐다.연구를 진행한 윤진하 교수는“생활 주변에 중금속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존재하기에 중금속 노출 위험도는 항상 존재한다. 이번 연구는 혈액 중 납의 농도와 정신질환 발생 관계를 대규모로 연구한 아시아 지역 최초의 시도결과라 의의가 깊다”고 말했다.여러 종류의 중금속 중 대표적 물질로 취급되는 납은 소화기 장애, 신장 독성과 혈액 독성을 일으키며 생체 반감기가 매우 길어 저농도 만성노출에서 말초 및 중추 신경계 장해가 보고됐다. 또한,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해 등 발달 독성도 보유하고 있음이 알려졌다. 연구논문은 세계정동장애학회지인 `정동장애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에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 and clinical mental disorders in fifty thousand lead-exposed male workers (남성 근로자 5만명의 혈액 내 납 농도와 정신질환 발생간의 상관성)’ 제목으로 게재됐다.
최종편집: 2025-05-03 16:46:38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