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당뇨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메트포민(Metformin)의 표적인자인 IGFBP-2(인슐린 유사 성장인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 조절 기전이 최초로 밝혀졌다. 메트포민은 당뇨병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효능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 있으나 그 작용 기전에 대한 표적인자 발굴은 미미한 상태이다. 계명대 동산의료원 내분비내과 조호찬 교수와 생리학교실 임승순 교수팀은 기초와 임상을 연계한 최근 연구에서 메트포민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IGFBP-2)의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실제로 당뇨환자들의 혈중에서 IGFBP-2는 감소되어 있었고, 메트포민에 의해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됨을 알아냈다.전 세계적으로 비만과 당뇨병이 중요한 대사 질환이며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어 이번 연구 결과는 더욱 의미 있다. 당뇨병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기 때문에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기능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발현 기전을 밝히는 것이 당뇨 치료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조호찬 교수는 “이번 연구가 비만,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급증하는 당뇨관련 의료비용을 줄이는 경제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초의과학분야(MRC)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에 선정된 계명대 비만매개질환연구센터(ODR)에서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성과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네이처 학술지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