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윤택림)에 임산부 고위험 질환인 전치태반 환자가 최근 5년새 무려 2배 가까이 늘었다. 또 전치태반은 30대 환자가 67%로 가장 많았으며 출산 및 유산 경험자가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이같은 결과는 최근 5년간(2011~2015년) 전남대병원의 전치태반 외래·입원환자(21세~45세) 911명에 대한 분석·조사에서 밝혀졌다.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에 근접해 있거나 자궁경부를 덮고 있는 경우를 말하며 진통 등으로 자궁경부에 변화가 생기면서 태반 혈관이 파열돼 출혈이 발생함으로써 심한 경우 산모와 태아의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는 질환이다.질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령·다산·제왕절개수술·자궁근종절제술 횟수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번 조사에서 전치태반 환자는 지난 2011년 119명에서 2015년 230명으로 약 2배 증가했다.연령대별로는 30대 초반인 31~35세 환자가 41.4%(377명)로 가장 많았고 30대 후반( 36~40세)이 25.4%(232명)로 그 뒤를 이었다. 결과적으로 전치태반 환자 중 30대가 6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26~30세(197명) 21.6%, 41~45세 9.2%(84명), 21~25세는 2.3%(21명) 였다.전치태반 환자 중 출산 1회 이상의 경험자가 56.8%(517명)로 출산 경험 없는 환자 보다 많았으며 유산 경험자도 절반이 넘어선 51%(464명)에 달했다. 또 제왕절개 수술을 했었던 환자도 14%(128명)를 기록했다.이같은 결과는 전치태반이 출산·유산·제왕절개수술의 경험과 매우 관련이 높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한 셈이다.전남대병원의 전체 분만환자(4,539명) 중 전치태반 환자의 비중은 9.6%로 일반적인 전치태반 유병률 0.5~1% 보다 9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남대병원이 타 지역 보다 훨씬 많은 수의 고위험 산모를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이밖에도 전치태반 환자의 평균 분만 기간은 35.9주로 정상적인 분만기간(37주)을 채우지 못하고 조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를 얼마나 막고 있느냐에 따라 완전·부분·경계 전치태반, 하위태반으로 분류하며 임신 말기에 출혈위험성을 평가하여 분만방법을 결정한다. 경계 전치태반이나 하위태반일 경우 질분만을 시도해 볼 수 있으며 이때에도 출혈의 위험에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 전남대병원에서 전치태반으로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환자는 422명이며 이중 73%(320명)가 수술 도중 또는 이후에 수혈을 받았으며 자궁적출술까지 받은 환자는 3.2%(14명)에 달했다.전남대병원은 이같이 수술 난이도가 어려운 전치태반 수술을 통해 산모 생존율 99.8%, 태아 생존율 100%의 탁월한 실적을 거두고 있다.일반적으로 전치태반은 출혈 등의 합병증 없이 임신이 성공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37주께 제왕절개수술을 시행하지만, 지속적인 출혈로 산모와 태아의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는 경우엔 응급제왕절개수술을 해야 한다. 또 수술 중 출혈량이 많으며 수술 후에도 산후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전남대병원 산부인과 김윤하 교수는 “최근 고령임신, 제왕절개분만, 시험관시술로 인한 다태임신, 유산경험 등 원인 요소들이 확실히 증가하고 있어 전치태반 발생이 늘어가고 있다”면서 “전치태반이라고 진단이 되면 모체태아·신생아·마취과 전문의사들이 상주하고 있어 언제든지 응급수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윤하 교수는 또 “전치태반환자는 위험임신관리실·신생아집중치료실·수술 후 외과계 집중치료실 등이 마련돼 협동치료가 가능한 전남대병원과 같은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와 분만을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최종편집: 2025-05-02 04:14:43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