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드르륵’ 하는 이를 가는 사람, 눈을 실낱같이 뜨고 자는 사람, ‘꺼어억~’하고 코를 고는 사람, 등 잠버릇의 종류는 정말 다양하다. 그런데 코골이 환자의 얼굴형은 평균적으로 정형화되어 있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을 하는 사람은 비만이고 목이 짧고 굵으며 무턱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입안을 확인해보면 목젖이 늘어져 있거나 편도가 일반 사람보다 크다. 그러면 코골이 환자일 확률이 높다.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숨 쉬는 공간인 기도의 위쪽 즉, 상기도(비강, 인두, 후두)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한다. 수면 장애를 일으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실은 조금 다르다. 코골이는 상기도가 좁아져서 떨리는 소리인 반면 수면무호흡은 상기도가 막혀서 일정기간 숨이 멈춘 상태를 말한다. 코골이는 성인인구의 대략 1/2에서 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흔하며 수면무호흡증도 우리나라 중년 남성의 4~5%, 중년 여성의 3~4% 정도에서 나타날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하지만 환자본인은 심각성을 모르고 주위 사람 즉 가족이 더 고통스러운 질병이다. 하나이비인후과병원(보건복지부 지정 이비인후과전문병원) 주형로 부원장은 “흔히 별것 아닌 것으로 생각해 방치되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사실 건강상 문제와 생활의 질 저하를 동반함으로 적극적으로 원인을 파악해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정확한 원인 파악이 가장 중요코골이 검사는 방사선 검사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평균적으로는 수면다윈검사와 수면내시경 검사를 많이 사용한다. 단순 코골이인지 심각한 수면무호흡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가 필수다. 수면 중 생리지표를 종합적으로 검사하는 수면다원검사는 무호흡의 정도, 혈압, 혈액 내 산소포화도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수면무호흡 유무와 정도를 알 수 있는 검사다. 어떤 부위가 좁아져 코를 고는지 좁아진 부위를 확인해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수면내시경 검사’다. 이 검사는 수면유도약물로 수면을 유도한 상태에서 어느 부위가 문제여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을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다. 주형로 부원장은 “살이 찌면 눈에 보이는 곳뿐만 아니라 목 안쪽과 혀 등에도 지방이 생긴다. 그 결과 목구멍 안쪽이 비대해져 공기가 통하는 길을 막아 코를 골게 되는 것이다”며 “자기 체중의 10%만 줄여도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이 상당 부분 호전될 수 있으니 체중조절은 모든 코골이 치료의 기본 중의 기본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코골이 치료방법은 일반적으로 지속양압치료, 수술치료로 구분된다. 검사결과와 환자의 상태, 선호도 등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환자에게 맞춤 치료를 실시한다. 잘 때 혀 뒷부분이 뒤로 밀려 기도가 좁아져 코고는 소리가 나면 수술보다 양압산소흡입기가 효과적이다. 산소마스크 모양의 이 장비는 수면 시 코에 공기를 공급해 숨 쉬는 것이 원활하도록 해준다. 코, 혀, 목 등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수술법을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