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강남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준원 교수팀은 최근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3~4기 하인두암 환자 91명에 대해 ‘수술 없이’항암제·방사선 병합치료만을 한 34명(CRT군)과 ‘수술 후’ 항암제· 방사선 치료 등을 한 57명(SRT군)의 치료성적과 부작용발생률을 비교 조사했다. 그 결과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암의 5년 국소억제율, 무병생존율, 전체생존율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별첨 참조 : 두 치료법 간의 생존율 비교> 그러나 발성, 삼키기 등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후두기능 보존율은 88.2% 대 29.8%로 ‘수술없이 항암제·방사선 병합치료’환자들(CRT)이 수술 후 항암제·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SRT)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술을 해야 할 정도의 치료부작용 발생율도 항암제·방사선 치료만 받은 군에서는 12%로 수술환자군의 37%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이 밖에도 국소적으로 암이 재발한 경우에도 항암제·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들에서는 8명 중 7명이 추가적인 수술적 절제가 가능했지만, 수술환자 군에서는 13명 중 2명에서만 수술적 절제가 가능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항암제·방사선치료만 받은 경우 재발할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를 통해 한번 더 치료를 시도할 수 있기에 전체적인 암치료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준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실제 생존율의 차이가 없다면, 발성과 삼키기 기능을 담당하는 후두의 특성 등을 고려했을 때 국소진행성 하인두암에서 수술보다는 방사선·항암제 치료 등 대체치료법의 유용성을 잘 입증하고 있다”라며 “이처럼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장비 및 치료법들이 개발되며 암종별 특성에 맞는 더욱 다양한 맞춤치료법이 개발되고 있기에 암환자들의 생존율은 물론 삶의 질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강남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준원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최근 국제학술지인‘Cancer Research and Treatment’에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versus Surgery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in Resectable Stage III/IV Hypopharyngeal Cancer(교신저자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금기창 교수)’ 제목으로 소개됐다.
최종편집: 2025-05-01 22:43:19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