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은 백약(百藥)의 장(長)이자 백독(百毒)의 두령(頭領)이다”는 말대로 술을 잘 다스리면 약이 되지만 잘못 다스리면 병이 된다. 음식을 과식하면 몸에 좋지 않듯이, 술도 과음하면 건강에 해롭다.   좋은 술은 약이 된다. 약용으로 술을 제조해 마시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약술로 우리 몸을 다스리려면 약재의 특성과 약술의 제조방법, 음용방법을 알아야 한다.   약술은 중국이 유명한데, 한국에도 우수한 약술이 많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조상들이 전통적으로 제조해 마셔온 약술의 종류와 제조법, 효과 등을 정리한 `체질따라 증상따라 한방약술 100선`을 펴냈다.   책자에 따르면, 약술은 체질별로 각각 어울리는 재료가 다르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4가지로 구분하여 약재를 처방한다. 한방약술도 체질에 따라 몸에 맞는 술이 정해져 있다. 농진청 발효이용과의 박신영 박사는 “약술은 체질에 따라, 증상에 따라, 또 용량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며 "하루 반잔씩 마시고 폭음은 절대로 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그는 “약술도 장기 복용하면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3개월 이상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했다.   농진청의 책자를 참고하여 체질 별로 몸에 맞는 약술을 시리즈로 소개한다. 먼저 한의학의 체질 분류에 따른 약술 궁합을 알아본다.   1.태양인     태양인은 폐가 강하고 간이 약한 폐대간소(肺大肝小)형이다. 폐에서 기의 호흡기능이 강하고, 간의 해독기능이 약하다.   머리가 크고 목덜미가 굵으며 가슴 윗부분이 잘 발달된 체형이다. 용모가 뚜렷하고 눈에 광채가 있으며 광대뼈가 튀어나왔다. 하체에 힘이 없어 오래걷지 못하고 움직임이 둔하다. 복부에 지방이 없고 마른편이다.   모험심이 강하고 대범하며 두뇌가 명석하여 판단력이 빠르다. 사회적 관계에 유능하고 결단력이 있다. 과장을 잘하며 독선적이고 안하무인 하는 경향이 있다.   태양인에게 좋은 약재는 메밀, 솔잎, 오가피, 하수오, 두충이다.   태양인의 체질에 맞는 약주두 다리가 아프고 저리며 오래 걷기 힘든 사람 →장송주, 신선주, 선모주허리가 아프고 관절염이나 신경통이 있는 사람 → 오가피주, 솔잎주 자주 어지럽고 두통이 있는 사람→국화주   2. 태음인     태음인은 폐는 약하고 간의 기능이 강한 폐소간대(肺小肝大)형이다. 간의 해독 기능이 강하고, 폐의 호흡기능이 약하다. 체형은 건장하고 체격이 크다. 허리부위가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 목덜미의 기세가 약하다. 손발이 크고 피부색이 어둡고 거칠며 비교적 땀을 많이 흘린다.   안정된 것을 좋아하고 정직하며 유머감각이 좋다. 몹시 수줍어하고 보수적이다.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으며 이해득실을 잘 따진다.   태음인에게 좋은 약재는 맥문동, 오미자, 산약, 도라지, 황금, 산조인, 용안육, 천문동, 상백피, 울금이다.   태음인의 체질에 맞는 약주목안이 건조하고 기관지가 약한 사람→도소주, 황금주허리가 아프고 눈이 침침하며 머리가 많이 빠지는 사람 →고본주, 죽순주배에 가스가 차고 설사를 하며 몸이 붓고 자주 피로한 사람→ 복령주, 연엽주   3.소양인     소양인은 비대신소(脾大腎小)형이다. 소화기관은 강하고, 신장 및 방광의 배설기능이 약하다.   체형은 상체는 크고 하체는 부실하다. 체구가 작고 허리에 힘이 없다. 피부에 윤기가 적고 땀을 많이 흘리지 않는다. 얼굴색이 희고, 입술과 턱이 가늘다. 팔 힘이 좋고 양손이 민첩하다.   똑똑하고 영리하며 성격이 강하고 용감하다. 추진력이 좋고 민첩하며 의협심이나 봉사정신이 강하다. 허풍떨기를 좋아하고 일에 싫증을 잘 느낀다.아름다운 것을 좋아하고 밖에서 칭찬받고 이름나기를 좋아한다.   소음인에게는 숙지황, 산수유, 복령, 구기자, 방풍, 황련, 치자, 지골피가 좋은 약재이다.   소양인의 체질에 맞는 약주땀이 많이 나고 쉽게 피로한 사람→오수주, 황정주몸이 잘 붓고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우슬주, 지황주코피가 자주 나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는 사람→죽엽주, 마치현주   4.소음인     소음인은 비소신대(脾小腎大)형이다. 신장 및 방광의 배설기능이 강하고, 소화기능이 약하다.   체형은 전체적으로 체격이 작고 마르며 약하다. 상체는 부실하고 하체가 튼실하다. 얼굴이 둥글고 이목구비가 작다. 땀을 잘 흘리지 않고 피부가 매끈하다.   순종적이고 천성이 온화하다. 단정하고 침착하며 기억력이 좋고 꼼꼼하다. 근심이 떠나지 않고 남에게 인색하며 질투심이 많고 사치하기를 좋아한다.   소음인에게 좋은약재는 인삼, 백출, 감초, 당귀, 천궁, 백작약, 건강, 반하, 진피, 정향 이다.   소음인 체질에 맞는 약주 배가 차고 아프며 소화가 잘 안되고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생강주, 백출주손발이 차고 자주 저리며 혈액 순환이 잘 안되는 사람→ 당귀주, 인진주땀이 많이 나고 정신적으로 긴장을 잘 하며 허약한 사람→장춘주, 감초주   <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최종편집: 2025-05-02 03:59:2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