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나이가 들면서 햇빛에 대한 노출이 누적됨에 따라 얼굴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어 칙칙하게 변해 가는데, 이런 주근깨, 기미 등의 색소 침착에 대해 레이저 토닝 등 다양한 시술이 시도되고 있으나 난치성인 경우가 많아 새로운 치료 방법이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다.이러한 가운데 최근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 피부과 김범준 교수팀과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최선영 교수가 공동연구를 통해‘LED(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피부 색소 침착에 대한 새로운 미백 치료의 가능성을 밝힌 연구 논문(Inhibitory effect of 660-nm LED on melanin synthesis in vitro and in vivo)을 발표했다.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 자외선으로 색소 침착을 인공적으로 유발한 쥐의 피부에 LED 광원으로 660-nm의 파장의 빛을 조사한 결과, 눈에 띄는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조직검사를 통해서도 실제로 멜라닌 색소의 합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이로써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LED 광원으로 660-nm의 파장의 빛을 조사했을 때 멜라닌 색소 합성 생산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미백 치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중앙대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는“이번 연구를 통해 레이저에 비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이용한 새로운 미백치료가 많은 사람들의 고민인 색소 침착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SCI-E급 저널인‘광피부면역의학지(Photodermatology, Photoimmunology & Photomedicine)’최신호에 게재됐다.
최종편집: 2025-05-03 03:30:48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