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올해 수능을 본 고3 김모양은 질 주변이 가렵고 분비물에 피가 섞여 나와 엄마와 함께 산부인과를 찾았다. 예전에도 비슷한 증상이 있긴 했으나 수능 때문에 스트레스 받아 그러려니 하고 넘겼었다. 하지만 이번엔 냉의 양도 많고 생리통도 심해 병원을 찾았다. 진단결과 자궁경부염이였다.자궁경부염이란 자궁입구 즉 자궁경부에 염증이 생기거나 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자궁경부나 자궁경관을 덮고 있는 점막에 발생한다. 보통 원인균으로는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이나 클라미디아균(Chlamydia trachomatis)이 많은데 뮤코퍼스(mucopus)로 불리는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띠는 점액화농성 분비물로 분비된다. 하지만 대개는 증상이 없어 나팔관, 난소, 복막 등으로 염증이 번져 골반염으로 악화된 뒤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자궁경부염은 사춘기 이후 모든 연령층의 여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데 최근 10대 청소년들의 발병율이 눈에 띄게 증가해 사춘기 소녀들의 건강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자료에 따르면 2005부터 2014년까지 난소종양(낭종),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자궁경부염, 월경장애 등으로 진료를 받은 10대 여성 환자가 해마다 5∼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10대 환자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여성 생식기질환은 자궁경부염이였는데 2005년 5479명에서 2014년에 220% 늘어난 1만2415명으로 확인됐다.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학업과 진학 스트레스 증가, 무리한 다이어트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자궁경부염은 성접촉으로 주로 발생하나 화학적 자극제 노출이나 외상, 잦은 질 세척 등도 자궁경부염을 일으킨다. 또한 평소 생활습관도 자궁경부염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의자에 장시간 앉아 공부하거나 일을 할 경우, 스키니진·레깅스 등 통풍이 제대로 안 되는 옷을 매일 입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상황에도 유발될 수 있다. 자궁경부염 검사는 면봉으로 자궁내경관 분비물을 채취한 뒤 염증을 일으킨 세균이 무엇인지 알아낸 후 염증에 대한 항생제 치료와 헐은 부위에 새살이 돋게 하는 레이저치료, 전기치료 등을 시행한다.잠실 조은여성의원 조영열 원장은 “자궁경부염은 당장에 위급한 질환은 아니지만, 점차적으로 발적하여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할 수 있고 생식기능이 완성되는 20~35세 시기에 불임이나 난임등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1년에 한번 정도는 정기검진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더불어 초경을 시작한 15~17세는 자궁경부암 백신을 접종하기에 최적의 연령이므로 백신 접종을 통한 자궁경부암 예방도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종편집: 2025-05-03 03:32:19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