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뇌는 신체의 2%에 불과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20% 이상을 쓴다.  사람의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해마는 스트레스에 민감하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뇌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지속적이고 강한 스트레스는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아드레날린 호르몬을 분비시켜 신체 방어 능력을 떨어뜨린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건망증이 심해지는 30~40대부터 뇌건강에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치매의 진행을 2년 정도 지연시키면 20년 후에 치매 유병률이 30% 감소하고, 5년 정도 늦추면 유병률은 50% 감소하게 된다고 한다. 치매 발병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면, 40대부터 치매 예방 관리가 꼭 필요한 이유다.  건망증과 치매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물론 균형적인 식습관, 운동, 충분한 수면 등이 아주 중요하다. 블루베리는 뇌세포의 젊음을 유지하는 탁월한 항산화 기능 때문에 견과류와 함께 대표 브레인 푸드로 손꼽힌다.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될 만큼 뛰어난 항산화 식품으로 알려진 블루베리가 진짜 매력적인 이유는 바로 뇌세포를 성장시키는 역할이다. 이는 블루베리가 지닌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성분 때문인데 폴리페놀은 뇌세포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줘 치매를 예방해야 하는 노인이나 뇌세포를 성장시켜야 하는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좋다. 블루베리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감귤, 양파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성분으로 뇌신경 세포의 신호전달을 촉진시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다.  미국 터프츠 대학 신경과학자 제임스 조셉 박사는 노쇠한 동물들에게 베리류를 섭취시킨 결과 블루베리가 신경기능과 뇌기능 개선, 알츠하이머 예방 및 지연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블루베리가 실제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은 노인들의 치매 발생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미국 신시내티 대학 의과대학 보건센터(Academic Health Center)의 로버트 크리코리언 박사는 치매로 이행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노인 47명(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블루베리가 치매 위험이 높은 노인들의 기억력을 개선하고 뇌 기능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두뇌활동을 촉진시키는 블루베리. 그렇다면 하루 얼마나 먹어야 효과가 있을까? 블루베리의 가장 큰 영양소인 안토시아닌은 우리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는 항산화 역할을 하는데, 미국 농무성에서는 일일 권장 항산화 수치를 하루 3,000~5,000ORAC(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으로 정하고 있다. 블루베리의 항산화 수치가 100g 당 2,400ORAC이니, 하루 약 130g 내외, 약 종이컵 1개 분량을 섭취하면 그 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다.  미국이 원산지인 블루베리는 여름이 제철이며 블루베리는 껍질과 씨를 통째로 먹어야 안토시아닌을 효과적으로 섭취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과를 권장하고 있다. 8월에 자주 볼 수 있는 미국산 생블루베리는 농무부(USDA)에서 매년 실시하는 품질테스트에서 A등급으로 판명된 것만 선별 수입되고 있다.<자료출처:미국하이부시블루베리협회>
최종편집: 2025-05-01 22:16:0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