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 근시가 매우 심하거나 각막 두께가 지나치게 얇고 모양이 고르지 못한(비대칭인 경우) 환자의 경우 안경을 벗는 유일한 방법은 눈 속에 렌즈를 넣어 시력을 교정하는 안내렌즈삽입술이다. 고도난시가 함께 있다면 이마저도 어렵다. 안내렌즈삽입술만으로 고도난시와 고도근시를 모두 해결하려면 렌즈가 지나치게 두꺼워지고 비용도 높아진다. 눈을 자주 비비거나 외상으로 눈 속 렌즈가 돌아가면 난시축이 바뀌어 시력 정확도와 교정 효과가 떨어지기도 한다. 이때 렌즈를 다시 배치하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재수술에 대한 부담은 물론 내피세포가 감소하거나 감염이 생길 우려가 있다.최근 국내 안과에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고도난시와 고도근시 시력교정에 성공해 주목을 끈다. 온누리스마일안과(정영택, 김부기 원장팀)은 각막 주변부를 절개해 난시교정술과 안내렌즈 삽입술을 동시에 시행, 고도난시와 고도근시를 한번의 수술로 해결한 임상성적을 대한안과학회지에 논문 발표했다고 밝혔다. 안내렌즈삽입술로 시력을 교정하려면 렌즈를 눈 속에 넣기 위해 각막 주변부를 절개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온누리스마일안과 의료진이 고안한 `고도난시 슈퍼세이브ICL(SSVC ICL, Super Save Implantable Contact Lens)` 방식은 렌즈 삽입 절개창을 만들 때 난시가 발생하는 위치를 절개해 난시를 먼저 줄인뒤 근시용 안내렌즈를 넣는 병합수술이다. 고도난시와 고도근시가 함께 있어도 두껍고 비싼 난시용 렌즈 대신 근시용 안내렌즈만 이용해 원하는 시력을 얻는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 이번 수술에 적용된 난시교정 특수기법은 레이저로 각막을 깎지 않고 약 2.8~5.7mm의 미세나이프를 이용, 인장력을 조절해 찌그러진 각막 모양을 바로 잡아 난시를 안전하게 줄이는 방법이다. 의료진은 수술 전 난시추적 항법장치(칼리스토아이, Callisto Eye)를 활용해 환자의 난시도수에 맞는 절개 위치와 절개 길이를 찾아내 표시했다. 그후 미세나이프를 이용해 각막 주변을 3 ~ 5.7mm 정도 살짝 터 난시를 해결하는 동시에 안내렌즈를 넣을 절개창을 확보했다. 이 난시 절개창을 통해 수정체 전방에 근시 도수에 맞는 렌즈를 넣어 시력교정을 마무리 했다 난시교정과 안내렌즈삽입 병합수술은 한번의 수술 과정으로 고도난시와 근시를 해결할 수 있고, 별도의 난시용 안내렌즈가 필요없어 렌즈삽입을 통한 시력교정(ICL)이 대폭 간소해진다. 절개창을 만드는 과정에서 난시를 영구적으로 줄인 뒤 근시용 렌즈만 넣어 시력을 교정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뛰어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며, 예기치 않게 렌즈가 눈 속에서 돌아가거나 위치가 바뀌더라도 교정 시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눈에 넣는 렌즈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간편하고 경제적인 이점도 있다. 온누리스마일안과는 2016년 7월부터 2016년 11월 사이에 고도근시 또는 얇은 각막으로 인해 각막굴절수술이 불가능했던 환자 중 난시가 심한16명(32안, 난시 2디옵터 이상)에게 난시교정과 안내렌즈삽입 병합수술을 시행했다. 그 결과, 난시 도수가 수술 전 평균 2.98디옵터 에서 0.72디옵터로 의미있게 줄었다고 밝혔다. 또한 수술 받은 모든 환자의 나안시력이 0.8 이상이었고, 그중 81.25%는 1.0 이상을 보였다고 소개했다. 논문을 발표한 온누리스마일안과 김부기 원장(안과전문의)은“심한 난시로 인해 스마일라식, 라식, 라섹 등 레이저 시력교정이 어려운 사람들은 난시교정술과 일반ICL수술을 병합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며“이 병합수술은 난시교정용 렌즈만으로 교정했을 때보다 정확도가 뛰어나며, 난시도수를 미리 줄여 눈 속에 들어가는 렌즈 두께가 얇고 비용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어 환자 이점이 많다”고 소개했다. 한편, 각막을 깎지 않는 난시교정술은 스마일라식, 라섹, 라식 수술과 병합해 활용할 수 있다. 김부기 원장은 2015년 `스마일수술과 난시교정 병합수술을 이용한 고도난시, 혼합난시의 치료`를 코니아 저널(Cornea Journal, 인용지수 2.01)에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