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 오듯 찌릿, 불에 타듯 후끈, 얼음처럼 차가운 증상, 나타나는 위치에 따라 질환 다르다 -- 손목터널증후군: 손목이 시큰거리고 손바닥, 엄지부터 약지(일부)까지 저린 증상- 주관증후군: 팔꿈치부터 팔뚝, 약지와 소지(새끼)까지 저리거나 차가움- 가이욘관증후군: 주로 약지와 소지(새끼)가 저리고 가끔 손바닥 통증  [왓처데일리] 10월초 추석 명절을 포함하여 역대 최장기간인 ‘10일 황금연휴’가 다가온다. 하지만 중년 주부들은 걱정이 많다. 긴 추석연휴에 음식 준비와 설거지, 청소로 유난히 손이 혹사 당하기 때문이다. 손은 작은 신체부위지만 총 27개의 뼈와 인대, 신경, 힘줄, 근육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만큼 질환도 다양한데, 그 중 손 저림은 대표적 명절증후군으로 많은 주부를 괴롭게 한다. 다가오는 명절 연휴. 주부에게 많은 3대 손 저림 증상과 관리 요령을 연세바른병원 정형외과 의료진으로부터 들어본다.<편집자 주> ◆ 손목터널증후군 : 엄지와 검지, 중지 손가락 저림 증상과 함께 손목 시큰거려.손 저림 증상과 함께 손목 통증이 느껴진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명절증후군으로 불릴 만큼 손목사용이 많은 주부나 직장인에 주로 나타나, 모든 손 저림의 원인으로 오해 받기도 한다. 손목에 있는 수근관(손목터널)이 좁아지면 그 사이를 지나는 정중신경이 눌려 통증 및 저림, 감각저하 증상이 나타난다. 수근관 터널이 위치한 손바닥 앞쪽 부위와 손목, 정중신경이 지배하는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일부)에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손에 힘이 빠지거나 통증이 심해져 젓가락질이나 옷의 단추를 잠그기 어려워 지며, 찬물에 손을 담그거나 뚜껑을 돌릴 때, 손을 뒤집거나 빨래는 짤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 주관증후군 : 팔꿈치가 의자에 부딪힌 듯 팔꿈치부터 팔뚝, 손가락까지 찌릿. 주관증후군(cubital tunnel syndrome, 肘部管症候群)은 좁아진 주관을 지나는 척골 신경이 압박돼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여기서 주관(肘部)은 팔꿈치 안쪽(내 상과)부분에 움푹 들어간 부위다. 연세바른병원 노형래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나타나는 손 저림 증상은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지만, 주관증후군은 팔꿈치부터 팔뚝 안쪽을 지나 약지와 새끼 손가락까지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며 “간혹 해당 손가락이 저린 동시에 얼음처럼 차가워지는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고 전했다. 또 “의자 모서리에 팔꿈치 안쪽을 부딪히면 전기가 오듯 통증을 느끼는 것 또한 척골신경 때문인데, 척골 신경은 주변에 보호해줄 연부조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 작은 압박에도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주관증후군은 주로 팔꿈치를 구부리고 턱을 괴거나 책상에서 PC를 사용할 때, 통화할 때, 팔베개를 하고 잘 때 등과 같이 오랜 시간 팔꿈치가 굽혀있거나 눌렸을 때 압박을 받는다. 이외 간혹 골절과 물혹, 당뇨성 신경병증 등 내과계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 가이욘관 증후군(척골관증후군): 약지와 소지(새끼) 손가락이 집중적으로 저려.척골관증후군으로도 불리는 가이욘관 증후군(Guyon’s tube syndrome, 尺骨管症候群)은 손으로 뻗어가는 척골신경이 수근관(손목터널) 옆에 위치한 가이욘관(척골관)을 통과할 때 압박돼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저린 손가락의 위치가 주관증후군과 같아 오인 경우가 많지만, 가이욘관 증후군은 주로 약지와 소지(새끼)손가락에 증상이 나타나며, 간혹 손바닥에도 증상이 나타난다. 밤에 통증이 심해지는 야간통이 특징이며, 증상이 오래될 경우 운동신경과 근육에 영향을 미쳐 손가락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지기도 한다. 싸이클을 타는 것과 같이 오랜 시간 손바닥을 누르는 자세 등 압박의 영향이 가장 크다. 그 외 골절이나 과도한 사용, 갑작스런 체중증가, 임신, 류마티스 관절염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트레칭과 함께 찜질 자주해야! 손 저림 예방 및 생활 관리 Tip오랜 시간 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1시간에 5분씩은 손 사용을 멈추고 스트레칭을 해줘야 한다. 먼저 팔을 정면으로 뻗은 상태에서 손목을 아래로 꺾어 반대 손으로 손등을 잡고 꺾은 방향으로 5초간 당겨준다. 이후 손목을 위로 꺾어 같은 방법으로 양쪽 각각 3회씩 진행한다. 다음은 주먹을 쥐었다 펴면서 동시에 팔꿈치를 굽혔다 폈다 10회 반복한다. 무거운 물건을 반복해서 드는 동작은 손에 무리를 일으킬 수 있으니, 번거롭더라도 여러 사람과 함께 들거나 무게를 줄여 나눠 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 사용 후에는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손목 부위에 10~15분간 40도 정도의 온찜질을 해주는 게 좋다.  진단은 가정에서도 가능한 신경 압박을 통해 할 수 있다. 손목이나 팔꿈치를 최대한 구부려 1분정도 유지 후 저림•통증여부를 확인 한다. 이후 신경•근전도검사 CT, MRI 등의 전문적 영상 검사를 통해 확진 한다. 초기에는 약물과 부목을 통해 움직임을 최소화 하면 상태가 호전되지만, 더 이상 호전이 없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수술보다는 프롤로테라피주사나 관절내시경으로 치료할 수 있다.연세바른병원 강지호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매년 명절이 지나면 손 저림 증상이나 통증을 호소하는 주부 환자가 늘어난다. 이는 대부분 과사용이 원인”이라며 “명절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는 걸레를 짜거나 오랜 시간 반복적인 동작은 최대한 피하는 게 좋다. 또 손 사용 중 틈틈이 스트레칭 해 손목에 부담을 덜어주고, 작업 후에는 찜질이나 휴식을 통해 피로를 풀어주어야 한다”<자료 출처 및 도움말 : 연세바른병원 강지호, 노형래 원장>
최종편집: 2025-05-02 00:11:2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