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주변 근육 및 뼈 퇴행 시작될 확률 높은 노년층 각별히 목건강 신경 써야- 장노년층 목디스크 오십견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아- 경미한 증상 비수술적 요법으로 개선, 증상 심할 시 미세현미경 통한 수술로 환자 부담 최소화[왓처데일리]인터넷과 스마트폰은 더 이상 젊은 세대의 전유물이 아니다. 50대를 넘어선 장노년층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특히 60대 이상 실버족들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디지털 실버족”이라는 단어가 생길 정도다.지난 2016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50대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2012년 31.4%에서 2015년 81.9%로 3년 사이에 50.5%가 증가하였으며 60대 이상은 2012년 6.8%에서 2015년 32.1%로 25.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60대의 비율 또한 2012년에는 5.7%에 불과하던 것이 2015년도에는 24.9%로 약 4.3배 증가했다. 또 다른 통계에서는 50대 이상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1시간 46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의들은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빈도가 늘어나면서 목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목 주변의 근육과 뼈의 노화가 시작되었을 확률이 높기때문이다. 특히 노년층의 경우 상대적으로 허리나 무릎의 이상에는 신경을 쓰지만 목건강은 등한시 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관절 안심진료 더본병원의 김준한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 60세 이상의 노년층의 경우 목의 근육과 뼈의 퇴화가 시작될 확률이 높다” 며 “목 주변의 근육과 뼈가 약해진 상태에서 목을 길게 빼고 컴퓨터를 보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보는 자세는 목디스크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니 삼가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 노년층의 목디스크, 오십견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아노년층의 경우 시력이 좋지 않아 스마트폰 이용 시 고개를 더 숙이거나 컴퓨터 모니터와 가까이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자세는 목디스크는 물론 어깨나 등 근육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많다. 장시간 같은 자세로 집중하다 보면 근막동통증후군이 발생하기도 한다. 근막동통증후군은 근육과 근육을 둘러 싸고 있는 근막이 뭉치면서 딱딱해지고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뒷목이나 어깨 등을 과하게 사용했을 경우 생길 수 있다.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목을 길게 빼거나 장시간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행동은 목에 큰 부담을 준다. 머리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해 목뼈와 목뼈 사이에 더 많은 양의 뼈가 자라 신경을 누르면서 목디스크를 유발하기도 하며 심할 경우 근육통 및 허리디스크까지 무리를 주기도 한다. 일단 노년층의 경우 젊은 연령대와는 달리 목디스크가 악화되면 팔과 손이 저리고 근육이 약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팔을 어깨 위로 들어올리면 통증이 줄어들거나 목을 젖히게 되면 통증이 증가하기도 한다. 대다수의 노인들은 목디스크를 ‘오십견’으로 오인하고 잘못된 치료를 받기도 한다. 더본병원의 김준한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노년층의 경우 어깨 치료를 해도 낫지 않는 경우에는 목디스크를 의심해보고 반드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며 “목을 지나는 척수신경은 온 몸을 지나가기 때문에 다리와 가슴, 머리에까지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팔다리가 저리거나 목·어깨가 시릴 경우, 손에 힘이 빠지는 경우 등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경우도 목디스크를 의심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목디스크 막는 방법! 무조건 바른 자세가 중요목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비교적 크기가 작고 근육과 인대가 약한 목은 약한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디스크가 터지거나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노년층의 경우 목 주위의 근육과 뼈의 퇴화가 시작되는 연령대이므로 자주 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하루에 20~30분이라도 걸어보면 당장 효과를 볼 수 있다. 올바른 자세로 걷는 것은 척추를 바르게 해 목 건강에도 도움된다. 또한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모니터를 눈높이보다 10~15도 정도 아래를 내려다 보게 설치하고, 턱은 항상 가슴 쪽으로 끌어당기듯 반듯한 자세를 유지한다. 간간히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이나 턱 당기기 운동을 반복해 주는 것도 좋다. 운전할 때도 등받이를 약 10도 정도 젖혀 허리와 목이 바로 세워지도록 해 고개를 내미는 행동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 디스크는 초기나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자세 교정과 약물이나 운동, 물리 치료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6주간 치료한 후에도 증상이 개선이 되지 않으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디스크 제거 수술은 피부를 최소로 절개해 수술 현미경을 통해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신경을 누르는 병적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수술 부위를 육안으로 보면서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며, 주변 조직에 대한 손상이 적고 목 부위를 2cm정도만 절개하기 때문에 수술 후 흉터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또한 안정기간도 짧고 이물질 삽입이 없으므로 기구삽입에 따르는 이물반응이나 기구로 인한 합병증이 없어 고령의 환자들도 안전하게 시술 받을 수 있다. 2주간 안정만 취하면 재활치료도 따로 필요 없다.[자료출처 및 도움말 : 더본병원 김준한 대표원장]
최종편집: 2025-07-02 23:16:09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