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의원과 오제세의원은 5월25일 ‘아토피 환자의 무너진 삶’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는 보통의 아토피가 아닌 ‘성인중증아토피 피부염의 심각성’을 주제로 한다. 흔히 아토피 하면 아동의 질병이라고 생각한다. 어릴 때 잠시 앓고 커가면서 사라지는 피부염 정도로 생각하지만, ‘성인 중증의 아토피’는 말기 암환자들보다 자살 생각을 더 많이 할 정도로 삶의 질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질병이다. 성인 아토피 환자는 영유아때 발병하여 성인이 될 때까지 최소 2~30년간 아토피에 시달려 온 환자들이다. 이들 중 중증 아토피 환자들은 커가면서 아토피가 나아지기는커녕 점점 더 심해지는 경우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2017년 동안 19세 이하의 아토피 진료인원은 20.1%감소한 반면, 20세 이상의 성인아토피 진료인원은 20.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회의 발제문에 따르면, 아토피 유무가 청소년 자살에 가장 유의미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일본의 조사에서는 중증 아토피 환자의 자살 생각은 일반인에 비해 22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날 토론회에서는 동영상을 통해 성인아토피 환자의 사례도 발표될 예정인데, 동영상 속 환자는 30대 남성으로 어릴 때부터 아토피를 앓아 왔으며, 커갈수록 아토피가 심해졌고 아토피 후유증으로 실명까지 했다. 이 환자는 취직은 커녕 사람만나는 것 조차 힘겨워 하고 있으며, ‘평범하게 사는 것이 꿈’ 이라고 호소한다. 이런 성인 중증 환자는 대략 2~3만명 선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그 숫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차원의 대책과 지원은 전무한 상태이다. 오히려, 아토피를 경증환자로 분류하여 대학병원에서의 전문적인 치료를 제도적으로 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 날의 토론회는 ‘성인 중증 아토피 환자’의 심각성을 알리는데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그래서 토론회 제목도 “아토피 환자의 무너진 삶 - 성인 중증아토피 피부염의 심각성”이라고 정했다. 또한 토론회에서는 현재 경증으로 분류되어 있는 아토피와 관련된 잘못된 정책을 짚고, 산정특례 등 국가의 지원과 대책을 촉구할 예정이다. 토론회는 정춘숙 의원과 오제세 의원의 공동주최,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의 주관, 보건복지부 후원으로 2018년 5월25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의실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