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하지무력증은 다리 근육이 감소하고, 근력이 약화되어 오래 서 있거나 보행 등 운동에 장애가 생기는 다양한 상황과 질환을 말한다. 환자는 주로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가 풀리고 힘이 빠지며,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하지무력증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줘서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진다. 강동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서병관 교수와 함께 하지무력증의 효과적인 한방치료에 대해 알아본다,<편집자 주>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하지무력증하지무력증은 뇌의 운동중추로부터 말초신경, 근육섬유까지 이르는 운동의 경로 중 어느 부위에라도 장애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완성 마비(Flaccid palsy)로 인한 하지무력증이 있다. 이완성 마비란 마비된 부분에서 근 긴장의 소실 및 근력 약화, 건반사의 결여와 감소를 동반하는 병증이다. 전반적인 근력 저하, 근 긴장도 저하, 반사의 감소 혹은 소실, 근육퇴행 등의 변화를 동반할 수 있다. 이완성 마비의 원인은 근육, 신경-근육 접합부, 말초신경, 상/하위 운동신경원 등의 이상에서 찾을 수 있다.자가 면역 질환으로 인하여 신경-근육 접합부에 이상이 생기는 △중증 근 무력증(Myasthenia gravis), 척수와 연수에서 발생하는 운동세포 병변으로 △만성적인 근력약화, 근육의 위축이 일어나는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한 노출이 선행된 후 하지에서 시작되어 진행되는 상행성 마비를 증상으로 하는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근 파괴가 일어나며, 근육이 지방 및 섬유로 대체되어 근력저하 및 운동장애 등이 발생하는 △뒤셴 근 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atrophy) 등의 질환이 이완성 마비로 인한 하지무력증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사지 근력 약해지면서 활동 제한되는 하지무력증하지무력 증상은 한의학적으로는 위증(痿證)에 해당된다. 위증(痿證)이란 사지 근력이 약하여 활동이 제한되는 병증을 말한다. 처음에는 하지 혹은 상지가 늘어지고 약해지며, 물건을 집지 못하거나 걸을 수 없게 된다. 오래되면 하지 혹은 상지 근육이 감소되어 마르게 되며, 전혀 운동할 수 없게 된다. 위증(痿證)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이 하지무력이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위증(痿證)의 원인을 △나쁜 기후 △오래된 병 △좋지 않은 영양 상태 등으로 인해 체내 진액이 말라 사지까지 영양을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침, 뜸, 한약 치료 효과 입증위증(痿證)의 한의학 치료는 각 환자의 임상 증상, 생활습관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열이 몸 안의 진액을 손상시킨 경우, △간과 신이 허약한 경우, △비위가 손상을 입은 경우, △어혈이 몸 안의 순환을 방해하는 경우 등으로 환자별 변증을 내리고 이에 따른 치료를 시행한다. 침 치료, 뜸 치료 및 한약 치료 등으로 임상에서 많은 증상 호전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위증 및 하지무력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들에 대한 침 치료, 봉독약침 치료, 한약 치료 등의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침 치료는 중증 근 무력증 동물연구에서 신경근 접합부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불연속성을 감소시켰으며, 중증 근 무력증, 길랑-바레 증후군, 근신경학적 기능을 회복시켰다는 결과가 보고됐다. △봉독약침은 염증성 반응 및 손상으로 인하여 신경 손상이 발생하는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질환의 동물연구에서 항염증 효과 및 신경 보호 효과에 대한 보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약 치료는 다발성 경화증의 동물연구에서 항염증 효과로 인한 신경손상 억제, 뒤셴 근이영양증의 동물연구에서 운동기능 개선 및 특이적인 전기생리학적 이상 완화 등의 치료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한의학계는 위증(痿證)으로 해석되는 하지무력증 환자에 대하여 각 환자가 나타내는 임상 양상에 따라 한의학적 변증 및 치료를 시행하여 임상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들에 대하여서도 각각의 한의학적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자료출처 및 도움말:강동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서병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