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의원(자유한국당)은 1월 1일(화)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출한 “최근 5년간 타미플루 처방 현황”자료를 공개했다. 최근 독감치료제 타미플루 복용 후 10대 학생들이 추락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소아․청소년 환자에게서 신경정신계 이상 반응이 보고되면서 타미플루 복용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1) 타미플루 올해에만 93만 건 처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8년 11월까지 타미플루 처방 건수가 총 4,375,945건에 이르며, 2018년에만 이루어진 처방 건수는 927,738건이다. 또한, 소아․청소년 환자인 20대 미만 환자에 대한 처방 건수는 10세 미만이 2,260,228건, 10대가 656,464건으로 전체 처방 건수에 66.7%에 달한다. F 2) 2018년 타미플루 처방 건수, 2013년 대비 약 7배 증가 또한 심평원이 제출한 자료 중 2018년 자료는 1월부터 11월까지의 현황이다. 이는 독감이 본격적으로 유행하는 시기인 12월의 자료를 추가하지 않은 것으로, 2018년 전체 타미플루 처방 건수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3) 처방의 약 70%가 의원급에서 이루어져 의료기관 종류별 처방 건수 현황자료를 보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의 타미플루 처방이 6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병원 14.7%, 종합병원 13.3% 순이다. F 의료법 제3조에 따르면 ‘병원’은 입원환자 30인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곳을 뜻하며, 그 이하의 규모일 때 ‘의원’이라고 구분한다. 따라서 의원은 동네에서 주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시장․군수․구청장 등에게 신고하여 영업하는 의료기관이다. 이에 김승희 의원은 “올해 타미플루 처방 건수가 92만 건을 넘어섰지만 해당 약의 부작용 안내는 미비하다”며 “타미플루 등 처방약에 대한 복약지도가 철저히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장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