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변형이 온 발목 관절염 환자들의 수술적 치료로 사용-타가골 이식의 경우도 80%대골유합율 보여, 해외 기존 연구는 50%대 [왓처데일리]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홍근 교수팀이 ‘유관나사를이용한 경거종골간 관절유합술’을시행 후 수술 례를 분석한 결과 90.6%의높은 수술 성공률을 보였다고 밝혔다. 특히, 골 결손이 심해 타가-대퇴골두이식술을 시행한 환자들도 81..8%의높은 골 유합율을 얻었다. 기존의 해외 논문 결과 보고는 50% 정도다. 경거종골간 관절유합술은 경골-거골간관절(발목관절), 거골-종골간관절(거골하관절)의연골과 피질골을 제거한 후 각 관절을 압박, 고정해 원래 관절간의 골유합을 목표로 한다. 변형이 심한 발목 관절염, 골 결손이 심해 발목 인공관절수술이 어려운 환자, 인공관절수술이 실패한 경우 구제술로 사용된다. 소아마비나 신경 손상, 기타 원인으로 인한 발목과 발 변형을 바로잡기 위해 시행되기도 한다. 정홍근 교수팀은 기존에 많이 사용되었던 금속정 대신 유관나사를 이용해 관절을 견고한 압박 고정을 얻었다. 골 결손이 심해 자가골 이식만으로 결손을 해결할 수 없어 타가골 이식을 진행한 경우에도 추후 적절하게 자가골 이식을 시행해 골 유합율을 높였다. 정홍근 교수는 “유관나사를이용한 경거종골 유합술 이후 통증이나 기능 면에서 호전을 보인 환자들이 많고 환자 만족도도 좋았다”며 “특히 타가골이식을 이용한 수술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수술이지만 기존 해외 연구보다 크게 골 유합율을 높였다”고의의를 밝혔다. 정홍근 교수팀은 해당 연구 결과를 지난 10월 열린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