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건국대병원정형외과 이동원 교수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전외측 인대의 불완전한 치유가 재건술 전 내측 경골부의 골타박 및 축이동 검사에서 고강도의 회전 불안정성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고 밝혔다.  논문 ‘*해부학적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전외측 인대의 치유 분석(교신저자명지병원 김진구 교수)’은해당 분야의 세계 첫 연구로, 정형외과 임상 학술지 중 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미국스포츠의학저널(AmericanJournal of Sports Medicine, IF (impact factor) = 6.093)에출간될 예정이다. *Evaluationof Anterolateral Ligament Healing After Anatom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이동원교수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54명을대상으로 1년후 자기공명영상(MRI)을시행한 결과, 약 70%(38명)에서전외측 인대의 불완전 치유를 보였다. 이 중 고강도의 회전불안전성을 보인 경우(2건), 경미한 회전 불안정성(3명)으로확인됐다. 반면전외측 인대의 완전 치유를 보인 그룹(16명)에서는축이동 검사에서 회전 불안정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동원교수는 “연구결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고강도의 회전 불안정성을 보이는 경우, 경골 후내측의 골타박 등 동반 손상 여부를 잘 확인해야한다”며 “전방십자인대재건술 후에도 회전 불안정성의 잔존 위험성이 높은 경우 전외측 인대 보강술이나 재건술 등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말했다. 이어이동원 교수는 “기존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회전 불안정성이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10~20% 정도 보고되고 있다”며 “20세미만이면서 축구나 농구 등 고강도의 무릎 회전이 요구되는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경우, 또 수술 전 회전 불안정성이 심한 경우, 전방십자인대 재수술의 경우에서는 전외측 인대 재건술을 함께시행한다”고덧붙였다. 이동원교수는 지난 2018년 ‘급성기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전외측 인대 파열 및 도반 손상 분석’에대한 연구를 세계적인 정형외과 학술지 관절경 수술학회지(Artrhoscopy:The Journal of Arthroscopic and Related Surgery, IF (impact factor)= 4.433)에게재했다. 또 2019년 ‘전방십자인대재-재건술시 동시 시행한 전외측 인대 재건술의 임상 결과’를담은 연구를 미국 스포츠의학저널에 게재하는 등 ‘전외측인대 분야’에서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무릎의전외측 인대는 ‘무릎에서새로은 인대가 발견됐다’는내용으로 2013년벨기에의 스티븐 클레아스 박사의 연구가 영국 BBC 방송에 소개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의학논문 사이트인 펍페드(PubMed)에최근 5년새 400여개의 관련 논문이 나올만큼 연구가 활발하다.  
최종편집: 2025-05-02 15:00:57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