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 기생하는 균으로 위암의 주요원인으로 꼽힌다. 헬리코박터가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가능성 소화불량증, 급성 위염, 만성 위염, 위암, 위말트림프종 등등이 있다. 진단은 위내시경하 조직검사나 혈액검사, 대변검사, 소변검사 등등을 통해 한다. 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선영 교수는 “헬리코박터 균은위에 균일하게 퍼져있지 않기 때문에 우연히 균이 없는 곳의 조직으로 검사하면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며 “비침습적인 혈액검사나대변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안전하다”고말했다. 이선영 교수는 지난해 논문을 통해 헬리코박터 검사를 받은 872명의 결과를바탕으로 한국인 성인 18.1%에서조직검사와 혈청검사가 불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145명은 조직 검사에서는헬리코박터균이 진단되지 않았으나 혈액검사에서 균이 있다고 나왔으며 채취한 위점막 조직에 선종(이형성증)이나암 등의 종양세포가 섞여 있을 때 불일치율이 11배상승했다고 밝힌 바 있다. 치료는 위궤양 환자나 합병증을 동반한 십이지장 궤양 환자, 조기 위암 환자, 변연부 B세포 림프종 환자를대상으로 하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억제하는 약제와 항생제를 사용한다. 치료 4주 후에는 세균이모두 박멸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이는 숨을 내쉬어 공기를 모아 확인하는 요소호기검사(UBT)로한다. 이선영 교수는 “감염자는 위암 예방과균의 전염을 막기 위해 균을 없애는 제균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감염을 진단받은상태에서 방치할 경우, 80~90세가넘어서까지 이시성 조기위암이나 선종이 수년 간격으로 발생해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고말했다. 건국대병원은 헬리코박터 치료에 있어 2차 제균 치료도하고 있으며 1차제균과 같이 일주일에 하루 두 번 처방 하고 있으며 *치료성공률도 93.9%로높다. *Efficacyand safety of twice a day, bismuth-containing quadruple therapy using high-dose tetracycline and metronidazole for second-lin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Helicobacter. 2020;25:e12683 이선영 교수는 “우리나라보다 탄음식이나 짠 음식을 많이 먹는 나라도 많은데, 유독 한국에서만 위암이 많은 이유는 한국인의 헬리코박터 감염율이 높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가 위암 1위 국의 오명을떨치기 위해서는 헬리코박터 감염에 대한 올바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전했다.[자료출처 및 도움말: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선영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