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임플란트는 자연치아를 상실한 경우 이를 대신해 기능과 심미를 회복하는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한 개의 치아부터 다수 또는 전체 치아의 보철치료가 필요할 때도 현재 임플란트를 가장 먼저 고려한다. 또 임플란트에 자석 등 장치를 부착하고 유지력을 강화해 틀니의 고질적인 불편함을 해결한 완전틀니, 식립한 임플란트를 활용한 부분틀니 등 기존 보철치료와 연계한 임플란트 치료도 많이 이루어진다. 국내에 임플란트 치료가 시작되면서 임플란트 회사들도 양적·질적으로 눈에 띄게 성장했다. 그만큼 환자의 만족도도 높아졌지만, 임플란트 식립에만 주로 관심을 가지고 식립 후 관리에 대해서는 다소 소홀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제대로 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으면 자연치아보다 더 쉽고 빠르게 망가질 수 있다. 많은 사람에게 많은 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만큼 부작용도 많이 발생할 수 있기에 유지관리와 치료 방법을 소개한다.더 세심하게 관리해야 하는 임플란트임플란트는 인공치아이기에 자연치아처럼 충치가 생기지 않지만, 자연치아보다 치주염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대개 ‘잇몸이 내려갔다’라고 표현하는데, 자연치나 임플란트가 치주염에 걸려 잇몸뼈가 내려앉으면서 뼈를 덮고 있는 잇몸도 내려가게 된다. 자연치아의 뿌리 표면보다 임플란트의 표면은 거칠고 나사선 형태를 가지고 있기에 한 번 걸리면 진행 속도가 자연치아보다 빠르다. 근래에 개발된 최신 임플란트일수록 뼈와 더 잘 붙게 하려고 임플란트 표면이 더 거칠고 표면적을 넓히는 기술을 적용했기에 세균과 이물질도 잘 붙을 수 있어 염증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이다. 그렇기에 자연치아보다 더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임플란트 시술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유지관리도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꼭 기억하길 바란다.정기검진의 필요성무엇보다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는 게 중요하다. 신경치료를 받은 후 몇 년 동안 이상이 없어서 정기검진을 소홀히 하다가 갑작스러운 통증에 치과를 방문했는데 이미 심각하게 진행된 염증으로 발치하게 되는 상황을 적지 않게 경험한다. 신경치료를 한 치아는 통증을 느낄 수 없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한데, 고름과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고 염증이 심한 상태에서 치과에 오면 이미 타이밍을 놓친 경우가 많다. 이와 마찬가지로 임플란트도 신경이 없으므로 염증이 심각하게 진행되기 전까지는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임플란트 고정체 주변 뼈에서 진행되는 염증은 엑스레이 촬영을 해야만 알 수 있기에 임플란트 치료를 받았다면 정기검진 시 엑스레이 촬영을 해야 한다.개인 구강위생 관리도 중요치주염으로 발치한 경우 대개 치조골의 흡수가 동반되어 있기에 임플란트 치아의 길이가 길어지고 임플란트 치아 사이가 넓어 음식물이 더 잘 끼게 된다. 또 치료받은 임플란트 치아와 자연치 사이에도 음식물이 많이 끼는데, 자연치는 미세한 흔들림이 있지만, 임플란트는 단단히 뼈에 붙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생기는 가장 많은 문제는 치은염과 임플란트 주위염이다. 초기 치은염의 경우 간단한 염증 치료와 함께 양치질, 치실, 치간칫솔 교육을 통한 구강위생 관리를 실천하면 큰 문제 없이 임플란트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치료 시기를 놓쳐 입안의 세균이 잇몸뼈까지 침투하면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진행된다. 임플란트 주변으로 뼈가 흡수되는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임플란트가 흔들리게 된다. 이처럼 임플란트 치료 후 구강위생은 아주 중요하기에 손의 힘이 약하거나 스스로 구강 관리를 할 수 없는 고령의 환자분들은 관리가 쉬운 방향으로 임플란트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재치료와 재수술임플란트는 크라운(머리 부분), 어버트먼트(기둥), 픽스처(고정체, 뿌리 부분)로 구성되어 있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에 파절이 생기면 음식물이 끼거나 혀에 날카로움이 느껴져 불편한데 이런 경우에는 뼈 안에 있는 임플란트 고정체는 그대로 쓰면서 상부 보철물만 다시 제작하면 된다. 임플란트와 자연치아 사이 공간이 넓어져 음식물이 낄 때도 재제작이 가능하다. 하지만 출시된 지 오래된 제품일 경우 적합한 상부 보철물 제작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임플란트 식립 후에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문제 발생 시 초기에 치과를 방문하는것이 중요하다. 흔히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는 나사 풀림으로, 치아머리 부분만 흔들리는 느낌이 든다. 이때는 고정체와 머리를 연결하는 나사를 조이면 해결할 수 있다. 치료비를 줄이기 위해 임플란트 고정체를 적게 식립하고 다수의 보철물 연결을 원하는 환자를 종종 만나게 된다. 추후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예상된다면 연결된 보철물은 재제작 시 전부 다시 해야 하므로 더 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씹는 힘이 아주 강하거나 임플란트 주변의 뼈가 부족해 임플란트를 지탱해주는 힘이 부족할 때 임플란트의 뿌리 부분(고정체)의 찢김이나 파절이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 임플란트 머리 부분과 기둥을 분리해 임플란트 고정체를 제거하고 새로운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임플란트 주변 치조골의 흡수가 동반된 임플란트 주위염이면 임플란트 표면에 닿아 있는 염증을 제거하고 흡수된 치조골 회복을 위한 뼈 이식 수술이 필요하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때에 따라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을 제거할 수도 있다. 치조골의 흡수가 과도하거나 임플란트가 흔들릴 때는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주변 염증을 모두 제거한 뒤 광범위한 뼈 이식을 하게 된다. 치주염에 걸려 있는 이를 뽑고 그 부위에 임플란트를 심게 되면 염증이 재발하여 임플란트 주변 골을 흡수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임플란트를 제거한 부위는 재식립 후에도 재발 우려가 있기에 광범위한 염증 제거와 뼈 이식 수술, 약 처방이 필수적이다. 노인분들은 재수술 시 지난 임플란트 수술보다 더 연세가 많고 건강상태가 안 좋아진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고혈압 및 당뇨와 같은 전신질환이 있다면 충분한 상담과 적절한 조치를 통해 합병증과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제공 -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              글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한치과의원 과장 ·경희대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김지원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2022년 3월호 발췌
최종편집: 2025-05-02 03:52:18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