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동남권원자력의학원(의학원장 박상일)이 23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선비상진료기관 11개 기관이 참여한 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이하 REMAT, Radiation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Team) 시범훈련을 실시했다.◦ 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 훈련은 방사선 사고나 테러로 인해 인명피해가 예측되는 상황에서 신속한 초기 방사선비상진료 대응 활동을 통해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방사선 피해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훈련은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주최하고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주관하였으며 국군병원(수도·대구·대전·함평), 동강병원, 대동병원, 서울대학교병원, 포항성모병원 등 국내 방사선비상진료기관으로 지정된 11개 기관, 약 150여 명의 관계자가 참여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에서는 강진규 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방사선종양학과), 이현곤 과장(신경외과), 간호사, 응급구조사, 방사선사, 행정요원 등 방사선비상진료센터 소속 요원 11명이 훈련에 참석했다. ◦ 전체 훈련 과정은 방사성 폐기물 이송차량의 추돌 사고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누출됐다는 가정 하에 ▲사고 상황 접수에 따른 신속한 방사선비상진료체계 가동, ▲다수 사상자 발생에 따른 현장 대응 활동 수행, ▲현장 초기 대응 및 진료소 인수인계·철수 절차 단계로 진행되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인명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1차 초기 대응 임무를 맡아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하였으며 사고 상황 및 사상자수 파악, 의학적 중증도에 따른 다수 사상자 분류 및 응급처치, 2차 추가 지원을 위해 출동한 현장진료소에 환자를 인수인계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훈련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강진규 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은 “코로나 이후 진행하는 첫 대규모 훈련인데 많은 기관에서 참여해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였다. 머릿속으로 그렸던 시나리오를 실제로 훈련에 적응해 보면서 보완이 필요한 점들을 점검했고, 요원들 간 훈련 경험을 공유하며 재난의료 대응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였다”며 “특히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라는 하나의 목표로 기장까지 한걸음에 달려온 기관들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적극 협력하여 보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