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스마트폰 볼 때 불편하다면 신호탄-장시간 컴퓨터 이용자 1시간 주기로 먼 곳 응시-중년안 교정용 맞춤형 누진렌즈 착용도 효과적[왓처데일리]30대 후반의 대기업 사무직 직장인 10년차 A과장.그는 작년 말이나 올 초부터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볼 때 무언가 불편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A씨처럼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시, 평소처럼 가까이 보기가 불편해 무의식적으로 멀리 두어 보는 것이 편안하다는 기분을 느껴본 적이 있다면 중년안이 찾아 왔음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 있다.최근 디지털기기 사용으로 30대 후반에 중년안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은 온라인 중심의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로 인한 불가피한 선택이다.이와함께 중년안의 발생 시기도 종전 40대중반~50대에서 30대후반으로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이다.안경렌즈 종합 브랜드사 케미렌즈를 통해 중년안 자가진단과 눈 관리 요령 등을 알아본다.우선, 신문 책 볼 때 점점 멀리서 보거나 스마트폰 문자메시지가 흐릿하게 보인다면 중년안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글씨가 흐릿해지거나 가까운 곳을 보고 작업시에 눈을 찡그리거나 비빈다든지, 어둡거나 피곤할 때 시력이 뚜렷하게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면 이 또한 중년안의 신호탄이다.중년안은 노화의 현상으로 완벽 치료는 어렵지만 꾸준한 눈 관리로 발병 시기를 늦출 수 있다.업무상 어쩔 수 없이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1시간마다 먼 거리를 주시하는 태도를 유지해 눈이 건조하고 피로해지는 상황을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을 개선해나는 일 또한 필요하다.더불어, 중년안을 위한 맞춤형 기능성 누진안경렌즈를 이용해 도움을 받는 것도 효과적이다. 누진렌즈는 사용 초기 적응의 애로점을 최근에는 충분히 보완, 개선한 제품이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케미렌즈는 이와 관련해 컴퓨터 사용 빈도가 높은 30~40대 사무직 직장인들에게 적합한 입문용 누진렌즈 `케미 3040’을 선보이고 있다.`케미 3040’은 부드러운 소프트 디자인 설계로 상하좌우 시선 이동 시에 발생하는 울렁증, 시선 처리의 불편함을 최소화했다. 이 같은 기능으로 30대 후반, 40대 초, 중반에 처음 중년안이 찾아올 때 부담 없이 착용해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누진렌즈로 평가 받는다.케미렌즈 관계자는 “초기에는 이처럼 입문용 누진렌즈를 착용해 적응하다가 40대 후반~ 50대 이후, 본격적인 중년안이 진행되면 일반 누진렌즈로 바꿔 착용해 자연스럽게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