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오공(蜈蚣)은 왕지네의 머리, 꼬리, 발을 제거하고 사용하는 한약재이다. 전통적으로 요통이나 관절염 같은 통증이나 간질발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최근에 오공은 경혈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침의 작용과 한약의 작용을 병행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약침요법으로 임상에서 자주 활용되면서 각종 소염진통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얼마전 미국 캘리포니아 UC-얼바인 의과대학에서 열린 2011 iSAMS(국제 과학 침구 경략 학술대회)에서 이러한 오공약침의 진통효과에 대한 동물실험결과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동물실험에서는 오공약침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통증연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을 사용하였다. 흰쥐의 L5척수신경을 묶어서 신경을 손상시키게 되면 쥐의 발바닥을 아주 약하게 건드리기만 해도 심한 통증이 유발된다.
실험동물은 발바닥에 자극을 주면 이러한 자극으로부터 회피하려는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이와 같은 통증반응 행동이 오공약침을 투여하게 되면 개선이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오공약침의 진통효과는 주입한 경혈에 따라서 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오공약침이 경혈에 특이적으로 효과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반복해서 투여하면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되고, 또한 진통효과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보아 오공약침의 진통효과는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연구에서는 병원에서 CT나 MRI로 추간판탈출증으로 확진을 받은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오공약침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오공약침의 효과는 적외선 체열 촬영 이미지(DITI) 분석, 신체 검사법, 통증 정도에 대한 설문조사, 퇴원 후 추적조사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오공약침 치료 후 적외선 체열 검사상 좌우측 온도 편차가 유의하게 줄어들었고, 하지방산통을 측정하는 각종 신체 검사법에서도 유의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89%의 환자가 퇴원 후 3개월 이내에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번 연구는 대조군이 없는 연구라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통해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오공약침의 진통효과에 대한 연구는 동물실험을 통해서 구체적인 효과기전을 밝히는 연구와 무작위 대조군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구성태 교수
<영어 요약본>
Division of Meridian and Structur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KoreaIn the present study, the analgesic effect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SP) on the neuropathic pain in rats and on the low back pain in herniated lumbar disk patients were examined.In animal study, neuropathic pain was induced by tight ligation of L5 spinal nerve. When rats developed pain behaviors, 100 μl of scolopendrid extract was injected into several acupuncture points under isoflurane anesthesia. The foot withdraw latency of the hind limb was measured for an indicator of pain level after each manipulation. The SP applied to ipsilateral BL23 point near injury site at a dose of 4 mg/kg increased the mechanical threshold of the foot significantly for the duration of 4 hr suggesting a partial alleviation of pain. The analgesic effect of the SP is equivalent to 50 mg/kg of gabapentin injection. The data suggest that SP produces a potent analgesic effect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In the clinical study, 70 patients diagnosed with herniated disk were recruited. SP treatments were administered for 7 days and follow-up study was observed during 14 months. Acupuncture points in the bladder meridian, gallbladder meridian and governor vessel were used for ST treatment.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DITI) analysis, physical examinations,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self-conscious pain test were evaluated. All of the outcome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P therapy is a useful option for the treatment of low back pain in herniated lumbar d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