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처데일리]대한민국에서 손가락 안에 꼽는 연례 행사 중 하나인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코 앞으로 다가왔다. 수험생들은 마지막 정리를 하느라 제대로 쉴 틈도 없이 책상에만 앉아있다. 수험생인 이세영(19)양도 스트레칭할 여유도 없이 책만 보느라 저녁이면 목, 어깨, 허리가 뻐근하다. 사실 몇 달 전, 허리가 너무 아파 병원을 찾은 결과, ‘허리디스크’를 진단을 받았다. 수능시험은 끝나도 수험생들의 허리디스크는 계속 수험생들을 괴롭힌다. 끊어질 것 같은 허리디스크에 대해 튼튼마디한의원 설무창 원장의 도움을 받아 알아봤다.
디스크가 제 위치에서 탈출하는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
‘허리디스크’란 외부로부터 척추에 오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디스크’(추간판)가 원래 위치에서 튀어나와 척수 신경을 누르는 질환을 말한다. 의학용어로 ‘추간판탈출증’이라 부르며 허리를 숙였을 때 통증이 발생하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의 원인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교통사고 또는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다치는 등 외부 충격에 의한 경우와 나머지 하나는 퇴행으로 인해 약해진 척추 때문이다.
이에 설 원장은 "디스크의 퇴행성변화는 이를 구성하고 있는 수분과 콜라겐 성분의 단백질 양이 점점 감소하여 발생한다. 하지만 척추에 무리한 동작이나 한 자세가 오래 지속되면 젊은 층에서도 일찍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디스크는 물렁물렁한 ‘수핵’과 이를 실타래처럼 감싸는 ‘섬유륜’이라는 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섬유륜은 뒤쪽이 앞쪽보다 상대적으로 얇다. 사람이 허리를 숙이는 자세를 취할 때, 수핵이 뒤로 밀린다. 이 압박으로 뒤쪽 섬유륜이 조금씩 끊기다가 시간이 지나 완전히 손상되어 수핵이 튀어나오는 것이 바로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다. 이런 이유로 하루 종일 앉아 앞으로 숙이는 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들이 ‘허리디스크’에 더 취약하다.
자세 수시로 바꿔주고 걷기 운동 많이 하기
설 원장은 허리디스크 환자에게 생활 습관의 변화를 강조한다. 허리디스크는 의학적 치료도 필요하지만 평소 자세의 개선과 일상 생활습관 또한 중요하다는 것. 의자에 앉아있는 자세는 서 있는 자세보다 디스크(추간판)의 압력을 높이는 자세이다. 책상에 오래 앉아있는 학생들이나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한 자세로 30분 이상 유지하지 않도록 수시로 자세를 변화시켜주고, 시간 날 때 마다 목, 어깨, 허리의 스트레칭을 함으로써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최근 병원 치료보다 요가 등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허리 통증을 완화하는데 더욱 효과가 있다는 말이있다. 하지만 허리 통증은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것이 특징이므로, 통증이 없어졌다고 방치하면 어느 순간 나도 모르게 악화되기 쉽다. 악화될수록 건강한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므로 미리 전문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우선이다. 한방에서는 우선 척추 주위의 어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척추신경을 압박하는 통증을 가라앉힌다. 통증이 어느 정도 진정되면 오가피, 두충, 척추연골한약으로 근육과 척추를 강화시켜 디스크(추간판)를 단단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치료한다.
도움말 : 튼튼마디한의원 노원점 설무창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