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는 비용도 비싸고 진료결과도 장기간 유지되어야 하는 시술이다. 때문에 환자에게나 치과의사 모두에게 중요한 시술이다.
20년전쯤 임플란트가 국내에 도입된 직후에는 몇몇 의사가 고가의 비용으로 시술을 해왔지만, 현재는 거의 모든 의사가 시술하는 대중화된 시술로 자리매김했다. 이같은 현상은 결국 시술비용의 하락으로 이어지고 경쟁적 마켓팅의 부작용으로 시술 재료와 기구 등의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치과계에 시행되고 있는 임플란트 시술의 종류는 무척 다양하고 치료비도 병원마다 차이가 크다. 그 이유는 각 환자 케이스마다 어떤 시술을 해야하는지와 그 경우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기구와 재료는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 지를 의사가 결정하고 그에 따라 진료비용이 책정되기 때문이다.
최근 여러 언론 매체에서 문제시 되고있는 일부 병원들의 저가 진료 형태는 그 자체로 진료 결과를 적정하게 담보하기 어렵다. “ ** 만원 임플란트”. ” **임플란트” , “ 원데이 임플란트” , “ 무통 레이져 임플란트” 등등 수많은 마케팅 관련 수식어는 치과의사는 물론 환자들마저 혼란스럽게 한다.
모든 치과치료가 그렇지만, 모든 경우에 똑같이 적용되는 시술법은 없다. 각 임상 케이스별로 치료기간이나 치료 방법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사실, 임플란트 수술시 종종 잇몸뼈 이식을 해야 하는 등의 난이도가 높은 치료의 경우 인공뼈의 선택과 심지어는 봉합사 선정도 중요하다.
인공뼈의 선택만 하더라도 장기간의 검증된 데이터가 있고, 가능한 그 케이스에서 최선이라고 선택되어지는 재료를 사용해야될뿐아니라, 상대적으로 비싼 봉합사를 사용해야되는 경우도 있다. 모든 시술과정과 재료의 선택, 시술자의 숙련도 또한 같지 않다.
환자들이 원한다고 해서 잇몸뼈의 구조와 전체적인 구강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없이 쉽고 빠르고 싼 시술만을 한다면, 먼 훗날 예측되는 “심각한 상황”은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지 답답하다.
가격의 결정은 여러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지만, 의료의 경우에는 시장논리로만 평가할 수만은 없는 부분이 분명히 존재한다.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을 할 경우 경험있는 전문의료진에 의한 최선의 치료계획, 적절한 재료, 지속적인 사후관리로 최선을 다하는 병원인지 반드시 확인한후에 시술을 선택해야 한다.
한국의 의료현실은 의료인이 아니고서는 이해하기가 힘든 부분이 적지 않지만, 임플란트 시술 등 고가의 진료를 오랜 기간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병원의 선택기준도 많은 부분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