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질환(잇몸질환)을 방치하면 혈관을 막는 혈전이 형성돼 심장질환의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데일리 메일 인터넷 판이 6일 보도했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의 하워드 젠킨슨 박사는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연쇄상구균이 잇몸출혈에 의해 혈관으로 들어가면 면역체계의 공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혈전을 일으키는 단백질(PadA)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면역체계와 항생제의 보호막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혈액의 흐름을 차단해 심장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쇄상구균은 원래 구강 안에 형성되는 생물막(biofilm)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서식하면서 치석과 잇몸질환을 일으키지만 치주질환을 방치해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혈관으로 들어가 더 큰 문제를 일으킨다고 연구진은 말했다.
젠킨슨 박사는 "사람들은 식생활, 혈압, 콜레스테롤과 운동수치를 계속해서 체크해야 한다. 또한 건강한 치위생을 유지하면서 심장질환의 위험을 줄일 필요가 있다"며 "이번 연구는 결국 새로운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개발로 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노팅엄에서 열리고 있는 `영국 일반미생물학회` 학술회의에서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