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변화로 남성의 정자수가 점점 줄고 있다는 기존 주장을 뒤집는 덴마크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뒤늦게 공개됐다고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이 7일 미국 학술지를 인용해 보도했다.미 의학학술지 `역학(Epidemiology)` 최신호에 따르면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연구진이 지난 15년에 걸쳐 징집 신체검사 대상인 18세 남성 중 검체 제공에 동의한 5천명의 정액을 분석한 결과 정자수에 유의할 만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론은 살충제와 플라스틱 등에서 유래한 환경오염물질로 인해 정자수가 줄고 질도 나빠졌다는 주장과는 상반되는 것이다.지난 1992년 이 연구진은 1938~1991년에 걸쳐 세계적으로 평균 정자수가 50% 감소했다고 보고해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바 있다.
이 연구는 방법상 오류 투성이라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이후 후속 연구논문 1천여건에서 인용되는 등 학계와 여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이는 더 나아가 정자수 감소가 여성 호르몬과 구조가 비슷한 합성 화학물질 즉 `환경 호르몬` 때문이라는 가설로 이어졌다.하지만 엄격하게 설계한 후속 연구에서는 정자수 감소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등 결론이 엇갈렸다.정자수 감소 결과를 처음 보고한 덴마크 연구진이 징집 신체검사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검체 채취 및 검사법을 적용해 정자수 추이를 다시 분석한 결과 지난 15년간 정자수는 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같은 연구진에 의해 정자수 감소 주장을 번복하는 결과가 나온 셈이다.덴마크 보건부 홈페이지에 공개된 연구 데이터를 소개한 `역학` 편집인은 "정자수 변화 분석연구 중 가장 과학적으로 이뤄진 것"이라고 평가했다.그러나 사회적ㆍ학문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이번 연구가 묻힐 뻔했다고 IHT는 전했다.지난 1992년 발표와 상반된 결론을 얻은 코펜하겐대학 연구진이 이 내용을 학술지에 보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연구 책임자인 닐스 요르겐센 박사는 연구비를 댄 덴마크 보건부에 데이터를 제출했고, 보건부가 이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면서 연구내용이 빛을 보게 됐다고 신문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