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여름철에 몸에 흐르는 땀은 골치덩어리이다. 손수건, 휴지 등을 동원해 닦아도 연신 흐르는 땀줄기에 사람들의 시선이 쏠리기도 한다. 그럴 때면 민망해 더욱 땀이 비오듯 쏟아지곤 한다. 여성들의 경우, 얼굴에 흐르는 땀을 닦고 나면, 메이크업이 지워져 수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처럼, 여름철에 흐르는 땀은 귀찮기 그지 없다. 하지만, 땀분비는 신체의 대사량과 연관이 돼 있으므로 무조건 줄이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일반인이 하루에 흘리는 땀의 양은 0.5~0.7L 정도. 하지만, 여름철이나 운동을 할 때에는 10L까지도 배출될 수 있다. 적당한 양의 땀 배출은 체내의 노폐물을 몸 밖으로 빼내는 효과가 있고, 상승한 체온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강에 이롭다.
땀의 성분은 99%가 물이다. 나머지 1% 안에 염분이나 암모니아, 칼슘, 미네랄 등이 포함돼 있다. 땀샘에서 배출되는 땀은 입술, 손톱바닥, 여성의 질이나 남성의 음경 일부를 제외한 모든 신체부위에서 나온다.
하지만, 여름철을 감안하더라도 지나치게 땀이 많이 흐른다면, `다한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는 주로 자율신경계의 이상으로 생긴다. 일반적으로 다한증은 소아기나 사춘기에 시작돼 25세 이후에는 저절로 좋아지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치료를 받는 게 좋다. 몸에 땀샘이 많이 분포하거나 땀샘을 분비를 신경조직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돼 땀을 배출이 늘어나는 것이다. 땀샘 분포가 많은 겨드랑이나 손 등이 젖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암내`라 불리는 액취증은 지방산, 중성지방, 단백질, 당질, 요산, 암모니아를 등의 분비물을 배출하는 아포크린샘과 관련 깊다. 아포크린샘에서 분비된 액체들은 원래는 냄새가 없지만, 피부세균에 의해 분해가 시작되면 악취가 나게 된다. 때때로 다한증과 액취증은 동반된다. 다한증이라면 자주 샤워를 하고 머리를 감으면 주변 사람들을 불쾌하게 하는 축축한 냄새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향수를 이용한 냄새의 제거 등도 중요하다. 파우더나 데오도란트를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좋다. 하지만, 땀이 많이 나고 냄새가 심한 경우 자신감을 잃게 되고 사회생활에도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심한 경우,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은 "겨드랑이 등 국소 부위에 보톡스를 이용한 땀주사를 시술하면 땀 분비를 관장하는 신경 전달을 차단하고 땀샘을 수축시키므로, 땀의 분비를 억제하고, 냄새를 줄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