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시사닷컴]질병관리청은 올 5월 이후 수족구병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영유아를 중심으로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어 가정과 보육시설의 철저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질병청에 따르면 최근 33주차(8월 1016일)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1,000명당 26.7명으로, 5월 말(21주차 1.5명) 대비 급격히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06세 영유아가 36.4명/1,00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7~18세(7.1명)보다 5배 이상 높은 수치다. 전문가들은 수족구병이 주로 봄에서 가을에 발생하는 점을 고려할 때, 당분간 환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환자의 대변이나 침, 콧물, 수포 진물 등에 직접 접촉하거나, 오염된 장난감·집기 등을 통해 전파된다. 주요 증상은 손·발·입안의 수포성 발진과 발열, 무력감, 식욕감퇴, 구토·설사 등의 위장관 증상이다. 대부분은 7~10일 내 회복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뇌염·마비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질병청은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고, 특히 ▲6개월 미만 영아 ▲2일 이상 고열 ▲수분 섭취 곤란 등의 경우 반드시 의사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환자는 어린이집 등원과 외출을 자제해 다른 영유아로의 전파를 막아야 한다고 권고했다.아울러 어린이집·유치원 등 보육시설에서는 장난감, 놀이기구, 문손잡이 등 아이들이 자주 접촉하는 물품을 철저히 소독하고, 식사 전후와 화장실 사용 후 손 씻기를 생활화하는 등 개인 위생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수족구병 예방을 위해 손 씻기와 환경 소독 등 기본적인 위생수칙 준수가 가장 중요하다”며, “보육시설에서는 환아가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안내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