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훈(한의사)  http://blog.naver.com/weezer5575   내년이면 중학생이 되는 아들이 있는 학부형이 찾아와 요즘 아들이 계속 재채기를 하고 코 막힘 증상이 자주 나타나 집중이 잘 안될 때가 있다며 상담을 청했다. 그 어머니는 아들이 그저 코감기에 걸린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아들의 정확한 병명은 ‘알레르기성 비염’이었다.   예전에는 알레르기성 비염이라고 하면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봄이나 가을 환절기에 코가 간지럽고 재채기를 하는 정도였다. 하지만 근래에는 시기나 계절에 관계없이 일 년 내내 이런 증상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연령대가 낮아지면서 아이들의 성장발육과 학습활동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런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거주지와 근무지를 살펴보면 공단,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중에는 새집이나 새 건물에서 생활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다. 이는 알레르기성 비염이 얼마나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지를 잘 보여준다.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고 있는 아이들의 식습관을 살펴보았을 때 편하고 빠르다는 이유로 평소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아이들이 많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알레르기성 비염을,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일종의 ‘현대병’이라고 일컫는 것이다.   인스턴트 식품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생활하는 환경의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꽃가루 등 유해물질의 침입에 견디지 못하면서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철 아침에는 기침과 재채기가 발작적으로 튀어나오거나 콧물이 줄줄 흐르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다면 실내온도는 18~20도, 습도는 50~60% 수준으로 유지해주는 것이 좋으며, 차가운 아침에는 옷을 두껍게 입어 체온을 유지해주어야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이 있더라도 심각한 상황이 아니고서는 아이들이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이럴 때는 부모가 아이들의 대변인이 되어야 한다.   평소 아이들의 습관이나 행동을 유심히 살펴보아 아이가 부쩍 코를 킁킁거리고 손으로 만지거나, 코막힘이나 콧물 혹은 재채기 증상을 호소하면 알레르기성 비염을 의심할 수 있다. 갑자기 두통을 호소하거나 코를 골아도 마찬가지이다.   또 알레르기 질환은 유전성이 높다. 가끔 환자들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유전에 대해 묻기도 하는데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유전적 요인을 피할 수 없다. 부모 형제 중 알레르기 환자가 있으면 태어날 자녀에게서 알레르기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특히 모계 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만약 부모 모두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으면 태어날 자녀의 80% 정도가 알레르기성 질환을 갖고 태어나게 된다. 하지만 알레르기 체질을 가지고 태어났을지라도 생활 관리나 적절한 의학적 조치를 취해주면 무리 없이 정상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은 병이 진행되고 나면 완치되기 까지 치료과정이 쉽지 않고 시간도 오래 걸리므로, 미리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 평소 맵고 짠 음식이나 인스턴트식품, 튀긴 음식 등도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채소나 과일 등 자연식 위주의 식습관을 생활화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 필자소개 : 코모코한의원 노원점 원장
최종편집: 2025-05-02 04:00:34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왓처데일리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68길 82 강서IT밸리 704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267 등록(발행)일자 : 2010년 06월 16일
발행인 : 전태강 편집인 : 김태수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구 청탁방지담당관 : 김태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태수 Tel : 02-2643-428e-mail : watcher@watcherdaily.com
Copyright 왓처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