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철 교수(부산대 한방병원 척추관절센터)
회전근개라고 하는 것은 견갑골 앞 뒷면에서 어깨 관절로 이어져 어깨의 회전 운동을 담당하는 네 가지 근육을 말합니다. 이것이 과도한 운동 또는 외상으로 다쳐서 근육이 끊어진 것을 회전근개 파열이라고 합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근골격계 전체에서도 비교적 흔한 질환의 하나로서 인구 고령화와 함께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불행히도 이 질환에 대한 중요성을 몰라 많은 환자들이 어깨통증을 호소함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방치해왔으며, 특히 오십견이라는 부정확한 개념의 병명으로 간주하여 치료한 것도 하나의 현실입니다.
하지만 어깨 통증 중 상당부분이 실제적으로 오십견이 아니고 회전근개 질환의 환자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즉 어깨 힘줄이 끊어져 점점 병은 진행하거나, 전문의의 수술적인 요법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1차 의료기관에서 오십견으로 간주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지 못하고 병을 악화시킨 후에 내원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 관절의 전방 탈구 즉 어깨가 빠지거나, 혹은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들어올리다가 어깨를 다치는 등의 외상의 병력이 있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회전근개 파열도 오십견과 마찬가지로 어깨를 움직이는 것에 장애가 발생합니다.
다만, 오십견과는 크게 다른 점이 있습니다. 오십견의 경우, 어깨 관절 자체가 굳어서(그래서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부릅니다) 나 자신이 들어올리지 못하고, 남의 손으로도 어깨를 들지 못하지만, 회전근개 파열의 경우에는 근육 또는 힘줄이 손상되어 통증이 있으면서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므로, 내가 들지는 못해도 남이 환자의 팔을 잡고 들어 올리면 어깨를 드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이 질환의 치료로서 수술적 치료가 우선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어깨 수술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한의학적인 치료를 한다면 침, 뜸, 부항, 약침의 시술이 있겠지만, 이 경우는 회전근개의 파열이라도 수술적 요법이 필요치 않은 경우가 해당된다 하겠습니다.
보존적 치료를 수행하게 되면, 물리치료를 하는 것과 함께 어깨 관절을 고정해주는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나이(고령인 경우), 활동량, 회전근개 파열의 정도에 따라 보존적인 요법을 사용해서 치료하는 경우도 있으며,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현대의학에서는 영상 장비의 발달로 인해 MRI 촬영으로 회전근개 파열을 쉽게 진단 할 수 있으며, 끊어진 어깨 근육을 잇는 수술이 필요한지 아닌지는 전문의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보존적 치료의 경우 매우 중요한 것이 어깨의 근력강화인데, 비록 손상된 힘줄은 힘이 약화되거나 기능을 못하게 되더라도 주변의 협동근에 의하여 근력을 보완시키면 큰 불편함이 없이 생활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일단 손상이 발생하면, 전문적 진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 필자 소개: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과장,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의무이사, 재활의학회 섭외이사. 저서로는 `한방재활의학`(2005), `정형추나의학`(200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