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삼복 더위라고 한다. 복날은 초복(初伏)·중복(中伏)·말복(末伏)의 삼복을 이르는 말로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다. 초복은 하지(夏至)로부터 3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4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부터 첫 번째 경일이다. 따라서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있다.
‘지봉유설’에서는 복날을 일컬어 ‘양기에 눌려 음기가 바닥에 엎드려 있는 날’이라고 표현했다. 유래를 따지면 삼복은 오행설에 기초하여 중국의 진나라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 시기를 이기려는 노력들은 오래전부터 있었던 것 같다.
삼복 기간은 더위가 가장 맹위를 떨치는 기간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바쁜 농번기에도 속한다. 때문에 땀을 많이 흘려 심신이 허해지고 입맛을 잃기도 쉬웠다. 그래서 삼복에는 산간계곡을 찾아 더위를 피해 즐기거나, 보신탕(개장국)·삼계탕(蔘鷄湯) 같은 음식으로 몸보신을 하기도 했다.
삼복에 고기만 먹었을까?
사실 ‘복날’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음식은 ‘보신탕’으로 불리는 개장국이다. ‘삼계탕’도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 음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복날 복달임을 위해 먹는 음식은 지역이나 계층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또, 그 보양식이 육류에 국한되지도 않았다.
일례로 동지에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팥죽도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을 예방한다 하여 쑤어 먹기도 했다. 전라도에서는 밀전병이나 수박을 먹었으며, 충청도에서는 복날 새벽 일찍 우물물을 길어다 먹으며 복(福)을 빌었다. 또 해안지방에서는 백사장에서 모래찜질로 더위를 이겨내기도 했다.
궁중에서는 고관들에게 빙과(氷菓)를 주거나 빙표(氷票)를 나누어 주어 동빙고나 서빙고에 가서 얼음을 가져가게 했다고 전해진다. 이 얼음은 콩국이나 임자수(참깨)탕 등을 만들어 먹는데 쓰였다. 현재 복날에 행해지던 다른 풍속들은 많이 사라졌고 보양식을 먹는 풍속만 남았다.
더위를 이기는 전통보양식
그렇다면 어떤 것들이 더위를 이기는 음식으로 사용됐을까? 가장 흔히 알려진 것은 삼계탕, 임자수탕, 용봉탕, 개고기를 이용한 보신탕, 그리고, 개고기 대신 쇠고기를 이용한 육개장이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삼계탕과 보신탕을 즐겨먹는다면 일본인들은 장어를 즐겨먹는다고 한다. 장어는 세포 재생력이 좋은 양질의 단백질이 16%,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된 지방이 21%나 들어있고, 비타민 A와 E 또한 풍부하여 스태미너 음식, 병후·산후 회복식, 허약체질 개선 등으로 권장할 만하다.
또 허영만의 만화 ‘식객’에도 나와 있듯이 ‘민어’도 널리 이용되던 재료였다. 민어는 산란기를 앞둔 여름철이 영양도 좋고 맛도 있으며 특히 큰 것이 알도 많고 맛있다고 한다. 추어탕도 빼놓을 수 없는 보양식이다.
육류나 생선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은 콩을 이용한 음식이나 과일로도 더위를 이길 수 있다. 콩국수나 냉콩국은 고기나 육류에 뒤지지 않는 훌륭한 보양식이다. 또 가장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수박으로도 더위를 피할 수 있다. 수박은 수분함량이 95% 정도로 단백질을 요소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도와 소변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이뇨작용이 크다.
때문에 예로부터 소변의 양이 적은 사람이나 신장병, 부종, 또는 생리 중 몸이 많이 부을 때, 그리고, 해열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육모초(익모초), 선식이나 미숫가루도 더위를 다스리는데 좋다.
또, 싱싱한 푸른색 채소는 비타민 A와 C의 함량이 높아 여름철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을 보충해 줄 수 있다. 비름나물은 예로부터 더위를 먹지 않도록 해주는 식품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