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23:10:39
로그인
회원가입
원격
뉴스
건강A-Z
라이프
푸드
칼럼
최신뉴스
종합
한의플러스
건강
왓처리포트
인터뷰
의료계
시사/피플
한의학술정보
포토n동영상
약침보감
질병백과
10대질환
암
생활습관병
의료상담
건상속설
의양품정보
세계병월을 간다
레저
섹스
뷰티
수면
스트레스
임신육아
건당 100세
레시피
영양
건강기능식픔
건강식
전문가칼럼
와인이야기
한의학 칼럼
기자수첩
만평
한의플러스
한의플러스
최종편집 : 2025-05-01 오전 10:37:45
출력 :
10개
20개
30개
피로·권태감·집중력 저하 춘곤증 아닌 만성피로증후군
[왓처데일리] 남(61세, 여)씨는 겨울철이 지나면서 입맛이 떨어지고, 몸은 힘든데도 잠이 잘 오지 않아 수면제에 의존하는 습관이 생겼으며, 체중도 줄어 항상 기운이 없다는 느낌이 들었다. 몇주전부터 맞..
김연선기자 기자 : 2016년 04월 05일
[기획]한방으로 알아보는 잡곡밥의 진실
[한방]잡곡밥에는 양질의 단백질과 필수지방산, 기타 유무기질이 들어있어 건강에 좋다. 때문에 대부분 사람드링 허여멀건 한 맨 쌀밥보다는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는 잡곡밥을 선호한다. 이렇게 건강..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4월 03일
[약초이야기(10)]백출(白朮):"위장 기능과 원기회복에 도움"
[약초]사람의 건강이 좋지 않다는 표시는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지만 입맛이 있다 또는 없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신호라고 할 수 있다. 먹는 것 이상 보약이 없다는 것이 공통된 상식인 것처럼 음식을..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7월 06일
[약초이야기(11)]진피(陳皮):체한 것 뚫고 위를 건강하게 해줘
[약초]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한약재의 수는 대략 300가지 정도이며 이 300여 종의 약을 가지고 여러 형태로 활용해서 병을 치료하게 된다. 초근목피(草根木皮)에서부터 돌부치나 동물의 어떤 부분까지 넓게..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7월 05일
[약초이야기(14)]지유(地楡):"상처 치료하고 통증 멈추게 하는 작용"
[약초]지유는 수박풀 또는 오이풀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의 어느 지방이나 습지에서 자생하는 풀을 말하고 약으로 쓰는 것은 그 풀의 뿌리를 채취해서 쓴다. 「약성가(藥性歌)」에서는 「치질이나 심한 자궁출..
왓처데일리 기자 : 2019년 06월 30일
[약초이야기(13)]익모초(益母草):조혈기능 뛰어나
[약초]한약의 이름을 음미해 보면 그 약의 효능을 알 수 있는 것이 많다. 익모초는 글자 그대로 여성에게 이로운 풀이라는 뜻이 된다. 여성에게 이로운 약초가 비단 익모초뿐이 아니지만 이 익모초는 가정상비..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7월 08일
[한의]한방(韓方)으로 아토피 타파하기!
[왓처데일리] 아토피가 많이 발생하는 봄이 다가오자 아토피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전통 한약재들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아토피는 그 종류가 다양해 그에 맞는 한약재들 역시 무궁무진하다. 우리..
송영두 기자 기자 : 2016년 03월 24일
[발효의 세계(2)]발효한약, 괜찮은가?
[기획]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등 우리나라 음식문화는 발효를 바탕으로 발달돼 왔다. 그러나 이들보다 먼저 발달된 발효식품이 있다. 바로 술이다. 한방의서인 황제내경에 보면 '약 중에 가장 좋은 약..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3월 23일
[약초이아기(12)]길경(桔梗): 천식·늑막염·편도선염에 효과
[약초] 사람의 오장육부 가운데 어떤 기관이 더 중요하고 어떤 장기가 덜 중요한 것이냐 하는 것은 그것을 따지는 것부터가 잘못된 것일지 모른다. 그것은 어떤 장기나 조직이 하나라도 언전치 못하든지 제구..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7월 06일
[임일규 한의사의 약초이야기(7)]숙지황(熟地黃)
[약초] 이 세상에는 많고많은 약이 있고, 그리고 많은 보약이 있지만 이 좋은 약들은 다 각기 특징이 있어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어느 체질의 사람에게나 다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몸이 약하면 약한..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3월 23일
[한의]만성기침의 한의학 치료백서
콜록콜록! 콜록콜록!, 입과 목은 아프지만 지치지도 않는 만성기침. 어디서 치료하는 것이 좋을까. 한의학에서는 만성기침을 두고 폐를 집중해서 살펴본다. 폐가 차가워졌다고 보는 것인데 폐의 건강이 곧 면역..
김연선기자 기자 : 2016년 03월 22일
[발효의 세계(1)]건강한 발효, '발효음식은 자연'
[왓처데일리] 음식은 곧 그 나라의 문화라고 일컬어진다. 그만큼 음식이 사람들의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식. 한식을 대표하는 음식들은 무수하게 많..
김연선기자 기자 : 2016년 03월 21일
[봄철나물]약재로 쓰이는 나물..질경이,쇠비름, 꿀풀, 짚신나물
[왓처데일리]한방에서 보면 나물은 단순한 반찬이 아니다. 각종 의서에 나와 있듯이 나물은 훌륭한 약재로써 인정받았다. 우리가 흔히 먹는 고사리는 한방에서 위와 장에 머물고 있는 열독을 풀어주고, 신장을..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3월 25일
[한방기획:암! 알면 이긴다<11>]한의학에서 보는 식도암<하>
[한방기획]한의학에서 식도에 관한 병증에 대해 “薤膈 "이란 병증을 주로 사용하였따. '噎'은 막히다의 뜻을 갖고 있으면 "격"또한 ”막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기질적 폐색 또는 기능적 연하곤란..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4월 05일
[한방기획:암! 알면 이긴다<10>]한의학에서 보는 식도암<상>
[왓처데일리] 식도는 목구멍과 위장을 연결시키는 25cm, 굵기 2~3cm의 좁은 관 모양의 기관이다. 식도는 6번 경추(C6) 높이의 윤상돌기 후방에서 시작되며 식도의 가장 좁은 부분인 이 지점부터 시..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4월 01일
[임일규 한의사의 약초이야기(5)]오미자(五味子)
[왓처데일리]세상만사가 다 그렇듯이 사람의 생명을 이어가게 하는 활동에도 반드시 서로 엇갈리는 힘과 작용이 있어서 약하면 끌어 올리고 지나치면 잡아당기는 작용을 해서 균형을 잡아가고 조화를 이루게 되는 ..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3월 17일
[임일규 한의사의 약초이야기(6)]위령선(威靈仙)
[왓처데일리]위령선이라는 이름만 가지고는 희귀한 약재같이 보이나 사실은 우리나라의 어느 지방이나 산과 들에 흔한 솔위나물, 으아리라고 불리우는 낙엽성 나무의 뿌리이다. 위령선은 그 약의 특성으로 해서..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3월 18일
[한방기획:사상체질 다이어트(4)] 소음인 파헤치기
[왓처데일리]신대비소(腎大脾小)한 소음인은 신장 기능은 좋지만 비장인 췌장과 위장이 허약하다. 대체적으로 미남미녀가 가장 많다고 알려진 체질로써 허리가 잘록한 편이라 연약한 느낌을 준다. 대체적으로 상체..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7월 08일
[한방기획:사상체질 다이어트(3)] 태음인 파헤치기
[왓처데일리]태음인은 땀이 잘 나야 건강한 반면 소음인은 땀을 많이 내는 것은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렇게 체질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면 살을 빼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태음인은 소음인과 함..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7월 07일
[한방기획:사상체질 다이어트(2)] 소양인 파헤치기
[왓처데일리]태양인이 폐대간소였다면 소양인은 비대신소(脾大腎小)하다. 말 그대로 비위인 췌장과 위장의 기능이 좋고 신장이 약하다는 말이다. 태양인에 비해 소양인 체질을 띄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소양인은..
김경진기자 기자 : 2016년 07월 06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편집규약
윤리강령
개인정보취급방침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이용약관
저작권
회사소개